복지부·심평원, 693개 의료기관 2025년 비급여 진료비용 공개

국민이 직접 지불하는 비급여 진료비가 의료기관마다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도수치료의 경우 무료인 의원도 있는 반면 병원급에서는 30만원을 지불해야 했다. 시술부외나 시간 등에 따른 가격 차이를 감안해도 편차가 컸다. 폐렴구균 예방접종도 최저 1만8000원부터 18만 원까지 가격이 널뛰기를 했다.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3일 전국 의료기관의 2025년 비급여 진료비용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비급여 가격(진료비용) 공개제도는 의료기관마다 차이가 있는 비급여 진료 항목의 가격 정보를 공개해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합리적 의료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로, 올해는 전체 의료기관의 693개 비급여 항목의 가격을 공개한다.

정부에 따르면 2025년 비급여 가격(진료비용) 조사·분석 결과, ’24년과 ’25년 공통 항목(571개) 중 64.3%(367개)의 평균 가격이 인상되었고, 48.7%(278개)의 기관 간 가격 편차가 증가했다. 

특히  국민적 관심이 높은 도수치료의 평균 가격은 전년대비 1.3% 인상됐고 폐렴구균 예방접종비는 2.1% 올랐다.

국민들이 많이 찾는 주요 비급여 항목 중 임플란트, 약침술의 가격 편차가 증가했고 2025년 신규 공개하는 비급여 항목 중 백내장 등 안과질환 진단에 실시하는 샤임프러그 사진촬영 검사가 의료기관별 가격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도수치료, 최저 0원부터 최고 30만 원까지 
폐렴구균 예방접종, 평균 12만 원… 병원급은 더 비싸

도수치료의 평균 비용은 전년 대비 1.3% 오른 10만8천 원으로 나타났다. 최고가는 30만 원, 최저가는 무료(0원)로, 의료기관에 따라 최대 10배 차이가 났다. 중간값은 10만 원이었다. 상급종합병원은 평균 6만4천 원, 종합병원은 7만5천 원, 병원은 9만6천 원, 의원급은 11만3천 원으로 집계돼 병원 규모에 따라 가격이 달랐다 . 

폐렴구균 예방접종비는 평균 12만 원으로 전년보다 2.1% 올랐다. 최고가는 18만 원, 최저가는 1만8000원이었다. 특히 상급종합병원은 평균 9만8천 원으로 전년 대비 12.3% 급등했고, 의원급은 평균 12만 원으로 소폭 상승했다. 조사 대상 의료기관은 총 1만4656곳에 달했다 . 

비급여 진료비는 의료기관의 진료기준, 난이도, 장비와 인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가격 차이가 너무 큰 경우 소비자가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건복지부 권병기 필수의료지원관은 "앞으로도 소비자 · 의료계 등 여러 분야 의견 청취를 통해 국민 비급여 진료 선택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로고 비급여 가격공개 제도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소비자는 합리적인 비급여 선택을 위하여 심평원 홈페이지를 통해 의료기관 간 비급여 가격(진료비용)을 확인하고 비교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