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트너 파이프라인 및 전략 맞춤형 권리 설계로 파트너링 가속화

디엑스앤브이엑스(DXVX)는 자회사 에빅스젠(Avixgen)의 ACP(Advanced Cell Penetration Peptide) 플랫폼을 병렬 다중 계약이 가능한 권리 구조의 기반 인프라로 활용해 글로벌 파트너링을 가속화 해 나간다고 21일 밝혔다. 또한, BBB 분리 전략을 통해 중추신경계(CNS) 사업으로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ACP는 플랫폼 기술의 특성상 용도, 모달리티(RNA, 단백질, 항체, 소분자), 지역 및 비임상, 임상, 상업화 등 개발단계에 따라 파이프라인의 권리를 모듈화하여 설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특정 파트너에게 제한적 독점 권리를 부여하면서도, 미부여된 영역의 권리를 활용해 다른 파트너와 병렬 계약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다.

특히, ACP의 BBB(Blood Brain Barrier, 뇌혈관 장벽) 권리는 별도 트랙으로 분리해 CNS(Central Nervous System, 중추신경계) 특화 파트너와의 전용 계약 또는 옵션형 공동개발로 확장이 가능하다. 전임상에서 확보된 BBB 투과 및 조직 도달 비임상 효력 데이터를 독립된 가치 축으로 묶어 거래하고, 향후 CNS 전용 로열티와 마일스톤 체계를 별도로 설계할 수 있는 구조다. 또한, 기존 비-CNS 파트너링과 권리 중첩 없이 병행 계약이 가능한 만큼, BBB 권리가 신경계 질환 적응증으로의 확장 옵션이자 협상력(negotiation leverage)으로 활용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ACP는 세포 조직 침투 능력으로 피부 전달 효율을 개선할 수 있어 보톡스 및 코스메틱 영역에서도 응용 가능성이 높다. 신약 개발 영역뿐만 아니라 미용과 피부치료 영역 등에서도 차별화 된 파트너링 기회를 발굴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디엑스앤브이엑스 관계자는 “ACP는 한 번에 하나의 계약으로 소진되는 기술이 아닌 권리를 세분화 해서 여러 파트너와 동시에 계약을 확장할 수 있는 플랫폼 인프라다. 특히 BBB 권리의 분리 전략은 CNS 영역에서 전용 파트너십과 옵션형 구조를 설계할 수 있는 강력한 레버리지로 작동한다.”면서 “당사는 파트너사들이 보유한 파이프라인과 시장 진입 전략에 따른 맞춤형 권리 설계로 글로벌 파트너링을 가속화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디엑스앤브이엑스는 현재 미국, 유럽, 중국, 한국 바이오 제약 기업들과 ACP 플랫폼에 대한 여러 라이선스 논의를 진행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