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682억원·당기순익 47억원, 영업이익도 흑자전환

에스티팜 반월캠퍼스 전경 / 사진=에스티팜
에스티팜 반월캠퍼스 전경 / 사진=에스티팜

에스티팜은 24일 공시를 통해 올해 2분기 매출 682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52.8% 늘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28억원으로 흑자전환했으며 당기순이익은 47억원으로 420.7% 증가했다.

회사는 이번 실적과 관련 신약 CDMO 사업(Oligo, Small Molecule) 내 상업화 및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매출이 큰 폭으로 성장했기 때문이라고 풀었다.

에스티팜에 따르면 상업화 프로젝트 내에서도 상대적 고마진 품목의 출하로 원가율이 개선된 가운데 올리고와 저분자 전체 신약 CDMO 사업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01% 상승했다.

여기애 높은 매출 볼륨으로 인해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긍정적으로 작용해 영업이익률도 18.8%로 올리고 사업 진출 후 두 번째로 높은 분기 영업이익률을 달성했다고 에스티팜은 설명했다.

에스티팜은 상반기 중 2분기에 매출 비중이 높았으며 하반기도 유사한 흐름을 전망했다. 이는 당초 계획 대비 3분기보다 4분기에 품목 출하가 집중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인데 하반기 달러/원 환율에 따라 실적 전망치 상향 가능성도 있다고 회사는 강조했다. 실제 회사는 2025년 총 8건의 수주 논의 협의를 마쳤으며 추가적으로 17건을 논의중이다.

매출별로 보면 올리고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83.0% 증가한 435억원이었으며 고지혈증 치료제 90억원, 혈액암 치료제 220억원, 척수성근위축증 61억원, 설비사용수수료 23억원 등이다. 임상용 품목 출하 일정은 4분기에 집중되어 있어 상업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 매출 성장 기조가 3분기까지 이어질 예정으로 6월말 기준 수주잔고는 약 3200억원에 달한다.

저분자에서는 매출 67억원으로 주 매출원인 미토콘드리아 결핍증후군 프로젝트로부터 43억원이 발생했다. 6월 기준 수주잔고는 약 550억원이다. 이 밖에 mRNA 매출은 7억원가량으로  LNP 지질 중간체 공급, mRNA Catalog Product, Smart Cap® CDMO 매출 CRO 수주 개선으로 매출 증가. 경영 효율화 및 비용 축소의 결과로 영업손실을 축소했다.

다만 유럽및 한국 금리 인하 기대감 등 산업 수요는 개선되지만 연간 손익은 소폭 적자로 예상된다고 회사는 전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