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FR 과발현 암 겨냥한 차세대 단백질 신약…비임상 진입 본격화"
프로엔테라퓨틱스가 개발 중인 전이성 대장암 치료제 PRN201이 국가신약개발사업의 후보물질 도출과제로 선정됐다.
프로엔테라퓨틱스는 EGFR(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을 표적으로 하는 전이성 대장암 치료제 PRN201이 2025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에 최종 선정돼 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회사는 향후 2년간 연구비를 지원받아 PRN201의 후보물질 확정과 비임상 진입을 위한 예비 독성평가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PRN201은 앞서 2022년 같은 사업의 선도물질 도출 과제로 선정돼 2년간 연구를 진행한 바 있으며, 이번 선정은 후속 단계 과제로 이어진 것이다.
회사에 따르면 PRN201은 프로엔테라퓨틱스가 독자 개발한 단백질 플랫폼 '아트바디(ArtBody)'를 기반으로 하는 치료제다. 아트바디는 항체 대비 낮은 결합력(affinity)을 갖지만, 종양세포에서 표적 수용체가 밀집화(clustering)되는 특성을 활용해 높은 결합 강도(avidity)를 유도하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정상세포에서는 결합을 최소화하고, 종양세포에서만 선택적으로 작용해 부작용을 줄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아트바디는 미생물(E.coli) 배양을 기반으로 생산돼 개발 및 제조 기간이 짧고, 비용 부담도 낮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회사는 표적 항원에 따라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고, 이중특이성(bi-specific) 등 다양한 형태의 바인더로 확장성이 크다는 점도 주요 경쟁력으로 제시했다.
PRN201으로 개발 중인 아트바디-약물 복합체(ArtBody-drug conjugate)는 항암 효능에서도 기존 EGFR 항체 치료제 대비 우위를 보였다. KRAS 유전자 변이가 있는 동물 모델에서는 기존 치료제 대비 2배 이상의 종양 억제 효과를 나타냈고, 치료제 내성 모델에서는 표준 치료제보다 5배 이상 높은 항암 효과를 확인했다. 회사 측은 이번 결과를 통해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일한 프로엔테라퓨틱스 대표는 "이번 과제를 통해 기존 EGFR 표적 치료제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할 것"이라며 "EGFR을 과발현하는 다양한 암종에서 단백질 신약 개발의 새로운 길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