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민주당 단독처리 반발...본회의 상정 지연
31조 8000억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 예결위를 통과했다. 당초 정부가 제출한 30조 5000억원보다 약 1조 3000억원 증가한 규모다.
이재명 정부는 경기진작과 민생 안정을 목표로 첫 추가경정예산안을 처리했지만, 야당이 추경안 처리에 반발하면서 본회의 상정이 지연되고 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4일 전체회의를 열고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가결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처음 추진한 이번 추가경정예산은 31조8000억원 규모로, 경기 진작, 민생 안전 예산 투자계획 등이 반영됐다.
주요 내용에 따르면 정부는 경기진작 일환으로 전국민 1인당 15~50만원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는 등 소비 여력 보강 예산을 약 1조 9000억원 증액했다. 침체기를 겪고 있는 건설경기 회복에 2조7000억원을, 신산업 분야 투자 촉진에 1조2000억원을 추가로 배정했다.
신산업 투자 세부내역으로 유망 벤처 중소기업 지원에 지난 추경 대비 9000억원을 증액했다. 바이오를 포함한 6대 분야 인공지능(AI) 적용·확산과 신재생 투자 예산도 기존 대비 3000억원 증액됐다.
또한 민생 안정 일환으로 반영된 소상공인 재기 지원에 1조4000억원, 실업자 구직급여 확대 등 고용 안정에 1조6000억원, 물가안정 및 취약계층 의료지원 등에 2조원을 추가로 반영했다. 특히 의료 및 돌봄 영역에는 고위험 산모 응급 이송,진료 체계를 강화하고 위기가구 돌봄서비스 및 긴급복지 지원을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한편 국회는 이날 예산결산소위원회 및 전체회의를 거쳐 추가경정예산안을 확정한 뒤 본회의에 상정할 예정이었으나, 여야가 추경 세부사항을 놓고 대치하면서 본회의 상정이 미뤄지고 있다.
예결위 전체회의에서 여당의 추경안 단독처리에 반발하는 야당 의원들의 항의로 한 때 고성이 오갔으며, 이날 2시로 예정됐던 본회의는 진행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 복지부 2조442억-질병청 478억-식약처 67억 추경 의결
- 국회예정처, 2025년 2회 추경예산안 분석보고서 발간
- "신약개발 시간·비용 절반으로"... 정부, AI 모델 54억 추경 요구
- 의료AI 데이터 플랫폼 30억 추경 "유사·중복 소지 크고 활용방안 부실"
- 중기부, 추경예산 1조 마련...AI 등 기술혁신 확산에 4620억 편성
- 중기부, 추경예산 반영 시케일업 팁스 R&D 176개 과제 지원
- 바이오·AI 등 첨단전략산업 50조 잭팟, 투자 비효율 우려"
- 2025년 추가경예산안 31조 7914억원으로 확정
- AI 기반 항체 바이오베터 개발 시동…복지부, 404억 투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