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AP 플랫폼에 나노바디 접목… 글로벌 면역치료제 시장 겨냥
에이프릴바이오(대표 차상훈)가 일본 항체·단백질 엔지니어링 전문기업 EME(Epsilon Molecular Engineering)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차세대 나노바디 기반 치료제 공동 개발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양사는 보유 중인 플랫폼 기술을 접목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공동 연구개발 및 상업화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협력의 중심에는 에이프릴바이오의 신규 항체 플랫폼 'REMAP(Recombinant and Evolved Multi-specific Antibody Proteins)'이 있다. REMAP은 기존 단일타깃 중심의 SAFA 플랫폼을 확장한 기술로, 다중타깃 치료제 개발에 최적화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에이프릴바이오 측은 REMAP이 높은 생체 안정성과 생산 효율을 바탕으로 이중 및 삼중특이성 항체는 물론, 항체-약물 접합체(ADC) 설계에도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이번 협약이 REMAP의 기술력과 글로벌 적용 가능성을 인정받은 결과라고 강조했다. 특히, 세계적인 수준의 나노바디 발굴 역량을 보유한 EME와의 협력을 통해 복합 질환을 겨냥한 면역치료제 파이프라인을 빠르게 확대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양사는 EME의 고기능성 나노바디 후보물질을 REMAP 플랫폼에 통합해 공동개발을 본격화할 예정이며, 차세대 면역 치료제 분야에서의 경쟁력 확보와 신규 치료 영역 개척에 힘을 모을 방침이다.
파트너사 EME는 2016년 일본 사이타마대에서 스핀오프된 바이오 벤처로, 나노바디 및 단백질 엔지니어링에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EME가 자체 개발한 'The Month' 플랫폼은 cDNA 디스플레이 기반의 합성 나노바디 라이브러리와 고속 스크리닝 기술을 결합해 단 30영업일 이내에 치료 후보물질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에이프릴바이오 관계자는 "EME의 세계적 수준의 나노바디 발굴 플랫폼과 당사의 독자적 플랫폼 REMAP의 시너지를 통해,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차세대 치료제를 글로벌 시장에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REMAP을 적용한 차세대 파이프라인을 빠른 시일내에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