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억원 이상 잠정실적 중간분석 |
조사대상 13곳 중 9곳, 영업익 전년대비 감소... 당기순익 감소 추이
2024년 국내 상위제약사의 '가채점성적표'가 나온 가운데 매출 분야에서 유한양행과 보령의 성장세가 눈에 띄었다. 반면 종근당, JW중외제약, 한독은 다소 주춤했다. 업체 전반적으로 매출 증가보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감소가 눈에 띈다.
12일까지 잠정영업실적 및 전년 대비 매출ㆍ영업이익ㆍ당기순이익 30% 이상 증가한 기업 가운데 매출 5000억원 이상 기록한 제약사 13곳을 모아 살펴본 결과 이같은 흐름이 보였다.
먼저 매출 분야에서 합성의약품 기반 제약사 중 최초로 2조677억원을 기록하며 2조클럽에 진입한 유한양행이 1위를 기록했다. GC녹십자가 1조6798억원으로 전년 1조6266억원 대비 성장하며 2위를 재탈환했다. 반면 지난해 2위였던 종근당은 1조5864억원으로 다시 3위 자리로 내려왔다.
다음으로는 1조4955억원을 기록한 한미약품이 4위를 차지했고 대웅제약이 1조2654억원으로 뒤를 따랐다. 올해 1조클럽에 진입하며 1조171억원을 기록한 보령이 바짝 붙었다. 보령의 경우 당초 회사가 공언했던 2026년보다 빠르게 1조 클럽에 진입했다.
1조 이하 제약사 중에서 HK이노엔이 8971억원으로 조사 대상 중 가장 높았다. 이어 JW중외제약이 7193억원을 기록했다. JW중외제약의 경우 전년 7485억원 대비 매출이 감소했음에도 자기를 지키는 데 성공했다. 매출 6000억원대 중에서 동아에스티가 6407억원을, 일동제약이 6149억원을 기록했다.
5000억원대 회사로 대원제약이 5981억원, 휴온스가 5902억원, 한독이 501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 성장이 제일 큰 곳은 1등을 굳건히 지킨 유한양행이었다. 전년 대비 2088억원을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뒤로 1조 클럽에 들어간 보령제약이 1574억원 이 증가했다. '뉴 클럽 가입자'들의 성과가 두드러진 셈이다. 또 호흡기 분야 열풍을 타고 대원제약이 712억원, 보령과 함께 '케이캡' 공동전선으로 시장 확장에 성공한 HK이노엔이 682억원 선이었다. 또 GC녹십자가 500억원대, 대웅제약이 400억원대, 휴온스와 동아에스티가 300억원대를 각각 기록했다.
반면 종근당은 전년 대비 829억원의 매출 감소를 기록했고 JW중외제약은 291억원, 한독은 167억원이 줄었다. 종근당의 경우 케이캡의 코프로모션 매출을 비롯한 주요 제품의 매출 감소, JW중외제약과 한독의 경우 두각을 보이는 수액과 희귀의약품 분야에서 지속중인 의료갈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매출 성장세는 그래도 괜찮은데,
떨어지는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어떡하지?
전반적인 성장세에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측면에서 썩 좋은 모습은 아니었다. 조사대상 중 영업이익이 가장 높은 곳은 자체 제품 라인업이 잘 구축된 한미약품으로 2161억원을 기록했다. 대웅제약은 1637억원으로 2위를 기록했다. 3위는 종근당이 994억원, HK이노엔이 882억원, JW중외제약이 824억원 등이었다. 증감액으로 보면 유노비아 분사 이후 조직 개편을 끝마친 일동제약이 154억원으로 전년 539억원의 영업손실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대웅제약은 전년대 303억원 영업이익 성장에 성공했고 HK이노엔도 222억원, 보령이 22억원 증가라는 호성적을 받아들였다.
반면 종근당은 전년 대비 1471억원의 영업이익이 감소하며 아쉬운 기록을 보였다. 또 JW중외제약이 178억원, 휴온스가 160억원, 한독이 118억원 등으로 영업이익 감소세를 기록했다. 특히 조사 대상 13곳 중 9곳이 감소했다. 코로나 이후 성장 정체와 특정 분야 외 의약품 사용 감소 등이 한데 엉킨 것 아니냐는 추정이 나온다.
이같은 추이는 당기순이익에서도 찾을 수 있다. 당기순이익도 1위는 한미약품으로 1435억원 선을 기록했다. 2위는 1108억원인 종근당이 차지했다. 다만 종근당의 경우 전년 대비 48% 줄었다.
700억원대 보령과 600억원대 JW중외제약과 HK이노엔이 매출지표처럼 순위권 경쟁을 펼쳤다. 이들 조사대상의 경우 13곳 중 적자가 지속된 한독을 포함한 9곳이 전년 대비 악화된 실적을 받아들었다.
기사 읽기 고려점
이번 조사는 잠정실적으로 실제 사업보고서에서 수치가 일부 변동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