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제5차 혁신위 회의 진행
유전자치료제 개발 위한 우리나라 기술수준 파악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정부가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전주기 개발 등 5개 분야에 대한 협업패키지 과제를 마련했다.

정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민간 부위원장(김영태 서울대병원장) 주재로 '제5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이하 바이오헬스혁신위)'를 개최하고 이 같은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작년 12월 출범한 바이오헬스혁신위는 1년간 총 5차례(분기별 1회) 회의를 개최했으며 바이오헬스 분야의 R&D 성과 제고를 위한 범부처 R&D 협업방안, mRNA 백신 주권 확보 방안 및 바이오헬스 분야 수출지원 방안 등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가져왔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가첨단전략기술로서 성공적인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을 위해 현재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을 파악하고, 향후 국가 R&D를 통한 중점 투자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또 mRNA 백신 국산화를 위한 국내 기업의 원천기술 확보현황 및 범부처 지원방안도 살펴봤다.

아울러 지난 3차 회의에서 바이오헬스혁신위는 바이오헬스 분야의 R&D가 부처별로 분절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업 분야를 선정하여 5개 분야에 대한 협업패키지 과제를 마련했다.

5개 분야는 ①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전주기 개발, ② 유전자치료제 딥테크 연구개발 지원, ③ 사용자 중심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활성화, ④ 첨단의료 AI 헬스케어 토탈 솔루션, ⑤  팬데믹 대비 mRNA 백신개발 및 신속개발체계 등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협업패키지 과제 중 첨단재생의료 분야 및 mRNA 백신개발에 대해 확보된 원천기술이 임상까지 잘 진입할 수 있는지 전반적인 국내 기술 상황을 확인하고, 범부처 지원방안 등 향후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바이오헬스혁신위는 세포·유전자 치료제의 성공적 개발을 위해서는 재생의료 분야 R&D 국가지원이 지속적·안정적으로 확대돼야 하며, 국내 개발 세포·유전자치료제의 신속한 제품화를 위한 규제 부담 완화와 함께 C(D)MO, CRO 등 국내 재생의료 분야 역량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mRNA 백신개발과 관련 그간 개발된 핵심기술과 민관협력 백신 국산화 성공 경험을 토대로 팬데믹 대비 mRNA백신 개발 지원사업을 추진해 2028년까지 차질 없이 mRNA 백신 확보를 할 수 있도록 민·관 역량을 결집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1년 간 규제개선 이행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특히 산업계 소요가 높은 과제(▲새로운 의료기기의 시장진입 절차 개선 추진, ▲신약의 혁신 가치 적정 보상·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 ▲혁신형 제약기업 제도 개편)에 대한 개선방안 및 진행상황을 보고받았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