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앤서2.0 사업으로 우울증 전립선증식증 AI 의료기기 개발
우울증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허가

아크릴(대표 박외진)이 '의료AI 확산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성과보고회'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발전 유공 포상으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상'을 지난 20일 수상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개최한 '의료AI 확산을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성과보고회'는 닥터앤서 2.0, 닥터앤서 소아과 등 지난 4년간 추진된 디지털헬스케어 R&D 사업의 성과를 공유하고, 2024년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유공자를 포상하기 위해 마련됐다.
닥터앤서 2.0 사업은 2021년 시작해 4년간 30개 병원, 19개 ICT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뇌경색, 폐암, 위암, 당뇨, 고혈압 등 12개 질환 관련 의료 AI 소프트웨어 24개를 개발했다. 특히 과기정통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협력해 의료기기 인허가를 지원해 총 11건의 인허가를 획득했다.
인공지능(AI) 전문기업 아크릴은 닥터앤서 2.0 사업에 참여하여 우울증, 전립선증식증의 질환을 대상으로 AI 의료기기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왔다. 닥터앤서2.0을 통해 의사와 환자 면담 내용 토대로 해당 질환을 진단 보조하고 원인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의료기기 '에스더 디프렉스(Esther Deprex)'를 개발해 20일 식약처에서 2등급 의료기기로 허가 받았다.
또한, 전립선증식증 진단보조 소프트웨어 '에스더 프로스텍스 1 (Esther Prostex 1)'과 전립선증식증 약물 반응평가 소프트웨어 '에스더 프로스텍스 2(Esther Prostex 2)'는 임상시험을 완료하여 허가 심사 단계에 이르렀다.
아크릴 신현경 부대표는 "의료 AI 기술을 실제 의료 현장에 성공적으로 도입하여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첨단 의료기술의 대중적 활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