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중국·사우디 등 온라인 송출도…"글로벌 포럼으로 지속 육성"

펙수포럼 참가자들이 기념 촿영을 하고 있다.
펙수포럼 참가자들이 기념 촿영을 하고 있다.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글로벌 의료진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펙수포럼'(Fexuforum)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날 펙수클루는 빠른 약효와 복용 편의성으로 글로벌 의료진으로부터 큰 호평을 받으며 위식도역류질환 치료를 위한 보다 완벽한 치료제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날 글로벌 의료진 40여명은 펙수클루의 처방 실사례와 현지 환자들의 반응, 임상 경험 등을 공유했다. 펙수포럼에는 인도, 중국, 사우디 등에 온라인으로 동시 송출돼 미래 협력 파트너사들도 다수 참여했다.

Frederick Dv 필리핀 산토 토마스 대학병원 교수는 "PPI 같은 위산 억제제를 20년 넘게 사용했지만 위식도역류질환의 보다 완벽한 치료옵션이 필요하다"라고 기존 PPI 제제의 한계를 지적하며 "위식도질환 치료를 위해 더 나은 위산 억제제가 필요한 상황에서 펙수클루와 같은 P-CAB 제제가 다음 치료 가이드라인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크리스티안 폰 뮐렌브록 칠레대학병원 교수도 "펙수클루는 위산 때문에 발생하는 질병 치료를 위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앞으로 펙수클루 등 새로운 P-CAB 제제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날 행사에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에 있어 펙수클루 효과 관련 발표도 진행됐다. 안드레스 예페즈 에콰도르 산타 세실리카 노바클리니카 교수는 "헬리코박터 제균 요법에서 환자들의 항생제 내성 비율이 높아지고 있고 페니실린 알러지가 있는 환자들에게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며 "이를 극복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는 펙수클루 등 새로운 P-CAB 제제가 다양한 환자들의 HP 관리에 안전성과 효능이 입증됐다는 건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대웅제약에 따르면 펙수클루는 지난해 7월 필리핀에 출시한 것을 시작으로 올해 7월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에 차례로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을 확장하고 있고 내년부터 해외 수출로만 연간 100억원 이상의 매출 달성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국내 품목 허가 후 2년 만에 5개국 출시, 11개국 품목 허가 신청, 14개국 수출 계약 등 30개국에 진출했거나 진출을 앞두고 있는데 이는 국내 P-CAB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중 가장 빠른 속도로, 회사는 2027년까지 100개국에 진출할 계획을 세웠다는 것이 대웅제약의 설명이다.

박성수 대표는 "펙수포럼에서 공유된 글로벌 실처방 사례와 임상 경험 등을 통해 펙수클루의 차별화된 글로벌 경쟁력과 효과적인 치료 옵션으로서 도입 필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국가에서, 더 많은 고객들이 손쉽게 제품을 접할 수 있도록 펙수클루의 글로벌 진출 확장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