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AChR 항체 양성인 전신 중증근무력증 표준에 부가요법 사용
한국유씨비제약(대표이사 황수진)은 지난 21일 C5 보체 억제제 '질브리스큐프리필드시린지주(성분명 질루코플란, 이하 질브리스큐)'가 성인에서 항아세틸콜린 수용체(이하 항AChR) 항체 양성인 전신 중증근무력증(gMG, generalized Myasthenia Gravis)의 표준요법에 부가요법으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았다고 25일 밝혔다.
전신 중증근무력증은 신경이 근육에 신호를 전달하지 못해 골격근이 약화되는 만성 자가면역 희귀질환이다. 원인과 치료법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매우 큰 희귀질환으로, 산정특례 로도 지정되어 있다.
특히 증상이 급격히 악화돼 호흡 마비로 이어지는 ‘근무력증 위기(crisis) 상황’은 전체 환자의 20%가 경험할 정도로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전신 중증근무력증을 관리하기 위한 치료 옵션으로 항콜린에스터라제,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치료 효과 발현이 지연되고 효과가 제한적이며, 장기 사용 시 중대한 이상반응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등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질브리스큐는 유일한 이중 작용 기전의 C5 보체 억제제로서 신경근육 접합부의 보체 매개 손상을 억제한다. 또한 질브리스큐는 1일 1회 투여하는 피하주사제로, 한국에서 허가 받은 성인 중증근무력증 치료제 중 자가주사가 가능한 치료 옵션이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질브리스큐의 허가 승인은 항AChR 항체 양성인 전신 중증근무력증 성인 환자 174명을 대상으로 질브리스큐의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3상 임상시험 RAISE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 질브리스큐는 경증부터 중증까지 이르는 환자의 증상을 신속하고 일관되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유효성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수준으로 확인됐다. 연구의 일차평가변수는 중증근무력증 일상생활 수행 능력 평가 척도인 ‘MG-ADL (Myasthenia Gravis-Activities of Daily Living)’이었다. 점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기저상태(baseline) 대비 치료 12주차에 질브리스큐 투여군(n=86)의 총점은 4.39 점 감소하여, 위약군(n=88)의 총점 2.30 점 감소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p=0.0004).
이차평가변수로는 환자의 근육 쇠약 정도를 평가하는 ‘정량적 중증근무력증(QMG, Quantitative Myasthenia Gravis)’ 및 환자의 증상과 전문의의 평가 수치를 종합하는 ‘중증근무력증 종합척도(MGC, Myasthenia Gravis Composite)’ 등이 포함되었다. 질브리스큐 투여군은 기저상태 대비 12주차의 QMG 총점이 6.19 점 감소해 위약군의 QMG 총점 3.25 점 감소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정도를 보였다(p<0.0001). MGC 역시 기저상태 대비 치료 12주차에 질브리스큐 투여군이 위약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 정도를 기록했다(최소 제곱 평균 변화 -8.62 vs -5.42; 95% CI, p=0.0023). 일반적으로 MG-ADL 2점 이상의 개선 또는 QMG 3점 이상의 개선을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증상 개선으로 정의한다.
한국유씨비제약 황수진 대표는 "지금까지 전신 중증근무력증의 치료법은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고, 장기 사용 시 중대한 이상반응이 발생해 미충족 의료 수요가 있었다"며 "이중 작용 기전을 가진 유일한 C5 보체 억제제인 질브리스큐는 뛰어난 임상효과를 입증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안전성과 치료 편의성 개선으로 중증근무력증의 장기적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