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에서 기존 지침 지켜지지 않고 있다" 주장
"공공심야약국 확대 중...편의성보다 안전성 택해야"

안전상비의약품 확대 및 규제 완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대한약사회는 "품목 확대는 국민 건강권과 안전에 위협을 가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대한약사회(회장 최광훈)는 28일 대한약사회 기자실에서 제11차 상임이사회 및 안전상비의약품과 관련한 기자 브리핑을 진행했다.
이날 전문언론 기자단은 최근 시민단체의 안전상비의약품 품목 확대 요구와 규제개혁위원회의 취급 요건 완화 권고 등 정책 환경 변화와 관련한 대한약사회 입장을 물었다.
김은혜 대한약사회 홍보이사는 "편의점에서 안전상비의약품 판매와 관련한 기존 지침을 지키지 못하고 있으며 공공심야약국 사업이 확대되는 상황"이라며 "의약품 품목 확대가 아닌 국민의 안전성을 택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9월부터 안전상비약시민네트워크는 안전상비의약품 품목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시민네트워크는 28일에도 "이번 국정감사에서 김예지 의원과 백종헌 의원이 지적했듯이 보건복지부는 편의점 안전상비의약품 제도를 방치하고 있다"며 "연내 품목심의위원회 구성을 약속하라"고 촉구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은 "환자 스스로 판단해서 시급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전상비의약품이 의료대란 상황에서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가벼운 병일수록 병원을 가지 않고도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이 있으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은 "안전상비의약품 제도 도입 이후 지정품목이 13개로 제한되고 일부품목은 생산 중단도 발생한다"며 향후 대체 품목 지정 및 확대 계획을 확인했다.
보건복지부는 이와 관련 "확대 필요성을 검토하고 자문위원회를 구성하려다 의정 사태가 길어지면서 검토를 보류하고 있다"고 답했다. 복지부는 의정갈등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안전상비의약품 대체품목 및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하겠다는 계획이다.
김은혜 홍보이사는 "안전상비의약품 판매 편의점에서 기존 지침들이 지켜지지 않는데 품목만 확대한다고 해서 국민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대한약사회는 안전상비의약품 품목 확대 시 국민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점을 자료로 정리해 정부에 전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공공심야약국 사업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편의점 안전상비의약품까지 확대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정부는 편의성보다는 국민의 안전을 중심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