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보산진, 25일 2024 첨단재생의료 R&D 미래전략포럼 개최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은 25일 오후 1시에 서울 마포구 소재 호텔 나루 엠갤러리에서 ‘2024 첨단재생의료 R&D 미래전략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첨단재생의료 분야 연구개발(R&D)사업을 통해 생산된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첨단재생의료 치료제 및 치료기술의 임상·상용화 촉진 등을 위한 미래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복지부에 따르면 이번 포럼에서는 어렵고 생소한 첨단재생의료 기술개발 그 자체보다 기술개발과 상용화 과정에서 연구자나 기업인들이 체감하는 현장의 애로사항이나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와 과감한 규제 완화가 절실한 분야를 중심으로 논의함으로써, 국민과 현장의 눈높이에서 바라보는 정부의 R&D 투자의 현주소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세포·유전자치료 글로벌 도약'이라는 주제로 세포·유전자치료제 글로벌 개발 동향과 기존 치료제의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해 차세대 기술을 개발하는 전략에 대한 기조 강연이 진행된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첨단재생의료 분야 연구 성과와 전망'을 주제로 보건복지부 R&D사업을 통해 생산된 연구 성과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가진다. 세포·유전자치료제 및 조직공학 기반의 치료기술 연구개발 현황과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각 분야 전문가 발표가 진행된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첨단재생의료 기술 상용화, 과제와 해결방안’을 주제로 패널 토의가 이어진다. 민간 전문가들은, 첨단재생의료는 기초·원천 연구부터 임상·제품화까지 최소 10년 이상이 소요되며 막대한 재정 투입이 필요한 지식 기반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정부의 R&D 지원 확대와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해 왔다. 이날 포럼에서는 차세대 첨단재생의료 치료제 개발 및 임상·상용화 촉진을 위한 정부의 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기반으로 한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보산진 차순도 원장은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첨단재생의료 분야 R&D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며 "이번 포럼이 첨단재생의료 분야 연구를 촉진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복지부 고형우 첨단의료지원관은 "정부는 첨단재생의료 선도국가로의 도약을 위해 국정과제, 12대 국가전략기술, 신성장 4.0전략 등을 통해 첨단재생의료 분야에 정책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라며, “첨단재생의료 전문가 및 관련 단체와 소통하면서, 첨단재생의료 기술 혁신 및 임상·상용화 촉진을 위한 R&D 지원 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