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자회사 ACB서 글로벌 임상개발 주도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대표 김용주, 리가켐바이오)는 로드리고 루이스 소토 박사(Ph.D. Rodrigo Ruiz Soto)를 최고의료책임자(Chief Medical Officer, CMO)로 영입했다.
23일 회사 측에 따르면 루이스 소토 박사는 리가켐바이오의 임상개발 전략을 주도하고, 후속 임상 후보물질들의 개발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루이스 소토 박사는 20년 이상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에서 최고의료책임자로 역임하며, 고형암 및 혈액암 분야에서 신약 개발과 관련된 풍부한 경험과 성과를 보유하고 있다.
가장 최근 디사이페라 파마슈티컬스(Deciphera Pharmaceuticals)에서 임상개발 부문 수석부사장으로 재직하며, 위암 치료제 킨락(성분명 리프레티닙)의 2020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이끌었다. 또 이뮤노젠(Immunogen)의 수석 의료책임자로 2022년 승인받은 엘라히어(Elahere, FRα-ADC)의 개발을 담당했으며, 사노피(Sanofi Oncology)에서는 pan-PI3K 및 mTOR 억제제를 포함한 여러 항암제 임상시험의 임상개발을 감독했다.
김용주 리가켐바이오 대표는 "루이스 소토 박사는 항암제 임상개발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과 입증된 성과를 보유한 당사의 CMO를 담당할 적임자이며, 영입하게 돼 매우 기쁘다"며 "소토 박사의 항암제 분야에 특화된 통찰력은 리가켐바이오가 보유한 항체약물접합체(ADC) 항암제 및 면역항암제의 임상 가속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로드리고 루이스 소토 박사는 "리가켐바이오가 글로벌 바이오텍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시기에 CMO로 합류하게 돼 기쁘다"며 "훌륭한 팀워크를 갖춘 동료 전문가들과 유망한 파이프라인을 신속히 개발해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옵션을 제공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루이스 소토 박사는 미국 보스톤에 위치한 리가켐바이오의 자회사인 ACB(AntibodyChem Biosciences)에서 근무하며 CMO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관련기사
- 초점 | 리가켐바이오, 어떻게 LCB97 조기 L/O 했을까
- 리가켐바이오, 일본 오노와 ADC 등 2건 기술이전 계약… 총 규모 9400억
- "신약 라이선싱, 마냥 좋아할 일 아냐… 한국 독자 신약이 최종 목표여야"
- 티씨노바이오-리가켐바이오, 'ADC·신규 저분자' 혁신항암제 공동연구
- 리가켐바이오 "익수다, 자사 기술 적용한 ADC 전임상 결과 발표"
- 리가켐바이오, '델파졸리드' 결핵 치료기간 단축 가능성 확인
- 리가켐바이오, 국제 ADC 어워드서 ADC 플랫폼 부문 '최고상'
- 리가켐바이오, SITC서 면역항암제 'LCB39' 비임상 데이터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