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ML 통한 MPLA 대량 생산공정 특허 등록…"프리미엄 백신 등 개발"

면역증강제 'EcML' / 사진=유바이오로직스
면역증강제 'EcML' / 사진=유바이오로직스

유바이오로직스는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와 공동개발을 통해 출원했던 면역증강 물질 'EcML'의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모노포스포릴 지질 A 를 생산하는 방법, METHOD FOR PRODUCING MONOPHOSPHORYL LIPID A)가 대한민국(특허번호 제10-2020-0107412호) 및 미국(특허번호 17/630,657) 특허청에 최종 등록 확정됐다고 10일 밝혔다. 

EcML은 그람음성 세균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지질다당체(LPS) 유래  MPLA(Monophosphoryl Lipid A) 성분으로, 체내 면역시스템을 활성화하는 TLR4 작용제로 분류된다. MPLA 면역증강제는 서브유닛 단백질 백신에는 물론 그 자체로서 면역항암제 등 다양한 제품으로의 개발이 가능해, 대량생산을 위한 이번 제조방법 특허가 한국 및 미국에 등록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2017년 11월 KIST와 기술이전 및 통상실시권 계약을 맺고 EcML을 자체 플랫폼 'EuIMTM'의 핵심적인 성분으로 삼아 GMP 생산기술 개발을 진행해 왔다. 이번 '모노포스포릴 지질 A를 생산하는 방법'에 대한 특허는 EcML 직생산 균주를 이용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대량 생산공정을 완료한 결과에 대한 특허이며, 유전자 재조합 대장균을 배양해 세포막에서 지질을 추출 한 후 2단계의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을 통해 고순도, 저비용으로 생산하는 기술력을 담았다. 

현재 세계에서 MPLA을 개발한 곳은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AAHI(Access to Advanced Health Instituteㆍ미국 비영리 감염병연구소) 등이 있다. GSK는 살모넬라균에서 전구체를 추출해 산염기 가수분해 후 정제 과정을 통해 MPLA를 제조하며, AAHI는 30단계 이상의 합성단계를 거쳐 생산하고 있다. 

유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미국에서 면역증강제 EcML 제조방법 특허를 등록한 것은 기술의 우수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큰 성과다. RSV, 대상포진 백신 등 프리미엄 바이러스 백신과 알츠하이머 백신, 면역항암제 등 다양한 제품으로 개발에 힘이 실린 것"이라며 "EcML제조방법 특허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파이프라인을 확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