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증의학회서 포스터 발표
코오롱생명과학(대표이사 김선진)은 이달 최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국제통증학회 2024'(IASP 2024, IASP 2024 World Congress on Pain)에 참가해 자사 신경병증성 통증 유전자 치료제 KLS-2031의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에 대한 비임상 유효성 평가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금일(28일) 밝혔다.
IASP 2024는 국제통증연구협회(IASP,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에서 주최하는 세계 최대 통증 학회다. 올해에는 전세계 5000명 이상의 과학자, 임상의, 의료 제공자들이 참석했다.
코오롱생과는 이번 학회에서 KLS-2031의 비임상 유효성 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을 가진 동물 모델에서 KLS-2031의 통증 제어 능력을 평가한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코오롱생과에 따르면 위약(생리식염수) 투여군 대비 KLS-2031 투여군에서 통증 자극에 대한 회피 반응 역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며 정상 동물군과 유사한 정도로 회복됐다.
이는 KLS-2031 투여 후 정상 동물군이 통증을 느끼지 않는 정도의 약한 자극에 더 이상 통증을 느끼지 않게 됐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 1회 투여로 장기간 통증 제어 효과가 확인됐다.
현장에서 해당 연구결과는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치료제 개발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많은 연구자 및 제약 업계 관계자들로부터 관심을 받았으며 향후 추가 연구 결과를 확보해 학술지에도 게재할 예정이라고 코오롱생과는 전했다.
김선진 대표이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기존 적응증인 요천추 신경근병증 외에도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으로 KLS-2031의 적응증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KLS-2031이 단순한 통증 완화 효과를 넘어 환자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