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매·제조사 급여의약품 비율 줄고 비급여의약품 비율 증가
제조·수입사 전체 공급량 감소
지난해 도매상의 요양기관 의약품 공급 실적은 34조 8000억원으로, 2022년 32조 3000억원보다 약 2조 5000억원 증가했다. 그중 급여의약품의 공급 비율은 줄었고, 비급여의약품의 비율이 늘어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간한 '2023 완제의약품 유통 정보 통계집'에 따르면, 도매상의 공급 의약품 중 급여의약품 공급 금액은 30조 3000억원으로, 전년 28조 2000억원보다 2조 1000억원 상승했다. 다만, 급여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2022년 87.3%에서 0.4%p 하락한 86.9%로 나타났다.
비급여의약품은 공급금액이 4조 1000억원에서 4조 5000억원으로 증가함에 따라 비율도 12.7%에서 13.1%로 상승했다.
아울러 전문의약품의 공급량이 2022년 2만 2151개에서 2023년 2만 2591개로 440개 늘었다. 일반의약품은 6602개에서 6390개로 줄었지만, 일반의약품의 공급 품목 수가 감소한 것에 비해 전문의약품 공급량이 더 많이 증가함으로써 전체 공급량에는 전문의약품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제조사의 급여의약품 공급 비율도 줄었다. 2023년 제조사의 요양기관 의약품 공급 금액은 3조 1000억원이다. 이중 급여의약품은 1조 3000억원을 기록하며, 전체의 41%를 차지했다. 이는 작년 1조 2000억원에서 금액은 1000억원 증가했지만, 비율은 42.7%에서 1.7%p 감소한 수치다.
제조사의 비급여의약품 공급 금액은 2022년 1조 7000억원에서 1000억원 증가한 1조 8000억원이다.
반면, 수입사는 급여의약품 공급 비율이 증가했다. 2022년 수입사의 급여의약품 공급 금액은 1300억원이었다. 지난해에는 1450억원으로 약 150억원 증가했고, 비율은 48.6%에서 50.6%로 1.4%p 증가했다.
비급여의약품 공급은 1377억원에서 1418억원으로 증가했지만, 비율은 51.4%에서 49.4%로 감소했다.
한편, 제조ㆍ수입사의 급여ㆍ비급여 의약품 공급 금액은 모두 증가했지만, 전체 공급량은 감소했다. 제조사의 요양기관 공급량은 1만 3313개로, 전년 1만 4123개 대비 810개 줄었지만, 공급 금액은 3조원에서 3조 1800억원으로 약 1800억원 상승했다.
수입사가 공급한 품목도 250개에서 244개로 감소했지만, 공급 금액은 2600억원에서 2800억원으로 증가했다. 이들은 전년 대비 고가 약제를 요양기관에 공급한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