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선정 과제 중 69%는 디스커버리 단계… 저분자화합물이 절반 이상
삼진제약·박셀바이오·차바이오텍·퍼스트바이오 등 선정돼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 KDDF)의 2024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에 선정된 과제 중 60% 이상이 종양학(Oncology) 분야의 질환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KDDF에 따르면 2024년 1차 선정 과제(46개) 중 디스커버리(Discovery, 유효물질~후보물질) 단계가 69%, 비임상 이후의 단계는 31%를 차지했다. 총 340개의 접수 과제 중 46개의 과제가 선정돼 14%의 선정률을 기록했다.

KDDF 관계자는 "올해 1차 과제에 선정된 곳은 총 44개의 기업 및 기관이다. 한 기업 및 기관에서 1개 과제 만을 제출하는 원칙은 없다"며 "같은 기업 및 기관에서 다른 과제 제출을 허용한다"고 말했다.

접수 및 선정 과제의 개발 단계 분포. / 출처=KDDF 홈페이지
접수 및 선정 과제의 개발 단계 분포. / 출처=KDDF 홈페이지

선정된 과제의 기관 유형을 살펴보면 46개 기관 중 산업계(35곳)가 전체의 76%를 차지했고, 학계(7곳·15%), 정출연(4곳·9%)이 뒤를 이었다. 또 선정된 과제의 모달리티(Modality·치료 접근법)를 살펴보면 저분자화합물(Small molecule)이 53%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항체(Antibody)와 세포치료제(Cell therapy)가 각각 11%, 바이러스(Virus)가 9%를 차지하는 등 다양한 모달리티 분포 양상을 보였다.

접수 및 선정 과제의 질환 유형 분포. / 출처=KDDF 홈페이지

질환 유형을 살펴보면 종양이 61%로 과반이 넘는 비중을 차지했다. 안과(Ophthalmology·13%), 대사(Metabolic·7%) 질환이 뒤를 이었다. 종양 분야의 과제가 평가 기준에 부합하는 우선 순위 내 과제로 선정된 경우가 많아 전체 질환의 61%를 차지했다는 게 KDDF 측 설명이다.

△삼진제약 △엠디뮨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 △이피디바이오테라퓨틱스 △진코어 △케이엠디바이오 △박셀바이오 △아이씨엠 △아이엔테라퓨틱스 △바스테라 등 10곳의 기업이 '국가신약개발사업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 개발 지원' 사업 과제로 선정됐다.

이피디바이오테라퓨틱스는 자체 개발 중인 차세대 표적단백질분해제(TPD) 플랫폼인 EPDeg 바이오프로탁을 이용한 항암 SOX2 분해제 개발 과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으로부터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 개발 지원 사업 과제로 선정됐다.

이피디바이오테라퓨틱스는 암 성장 및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전자인자인 SOX2를 표적으로 하는 TPD 약물을 개발 중이다. 최근 폐암 치료를 목적으로 한 비임상시험을 시작했으며, 이번 KDDF의 지원을 통해 해당 과제의 글로벌 공동 임상개발이 가능한 선도물질 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케이엠디바이오도 국가신약개발사업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 개발 지원 사업 과제에 선정됐다.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HER2 저발현 위암을 타깃하는 신규 모달리티인 항체접합나노입자(ACNP) 기반 후보물질 도출'이다.

△한국화학연구원 △서울대학교 △체크메이트테라퓨틱스 △큐어버스 △에이피트바이오 △맵틱스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 △티카로스 △아이젠사이언스 △차바이오텍 △상트네어바이오사이언스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 △뉴라클사이언스 △넥스젠바이오사이언스 등 36곳의 기업 및 기관들이 올해 1차 과제에 선정됐다.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는 이번 과제 선정을 통해 EGFR 돌연변이 폐암 환자에 치료 효과를 가지는 T세포 수용체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약물의 후보물질 선정 및 생체 내(In vivo) 효능 검증,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 공정 개발 연구에 나설 계획이다. 오는 2026년 파이프라인 DN-101에 대한 임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넥스트젠바이오사이언스는 원형탈모치료제 신약 후보물질인 보니피모드(Vonifimod, 개발코드명 NXC736)가 2024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의 임상 2상 단계 과제로 선정돼 사업단과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회사는 2026년 3월까지 신약 후보물질인 보니피모드의 임상 2a상 및 독성시험 등 연구개발 비용을 지원받게 된다. 향후 2년 내 국내 2b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2024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에 대한 신규 과제 접수 마감일은 오는 7월 1일이며, 10월 중 2차 선정 과제가 발표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