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경력직 채용정보 (2024/05/21)

 

HLB생명과학 GMP 컨설팅(~7/20일)

GMP 컨설팀 담당으로 GMP 및 의료기기ㆍ의약품 품질 컨설팅, 적격성 평가 컨설팅, 밸리데이션 컨설팅, 위험평가 컨설팅 업무를 수행한다. 대졸 이상으로 밸리데이션 컨설팅 수행 능력, 고객 대응 능력, 제약 및 의료기기 밸리데이션 및 적격성 평가 수행 능력, 컴퓨터 오피스 활용 능력 등이 필요하다. 프로젝트 수행 시 지방 및 해외 장기 근무 가능자, 컴퓨터시스템 밸리데이션 수행 경력자, 밸리데이션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한다.

하나제약 개발부(~5/31일)

개량신약 개발 관련 제품 기획 및 검토, 개량신약 인허가, 특허 검토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경력은 대리~차장급으로 5년 이상이어야 한다. 약학ㆍ생명과학ㆍ생물학ㆍ화학계열 전공자로 학사 이상 학력을 보유해야 한다. 우대 사항에는 약사 면허 소지자, 개량신약 개발 경험자, 영어 능통자, 석ㆍ박사 학위자가 있다.

제일약품 글로벌 BD(~5/31일)

자사 신약 해외 사업 추진, 라이센스인 사업개발 추진, 기술성 및 사업성 평가, 분석력을 통한 사업기회요인 발굴ㆍ확보ㆍ협상ㆍ문제해결ㆍ계약체결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대졸 이상 학력으로 경력 5~10년인 사람을 뽑는다. 우대 사항에는 MBA 학위 수여자, 생명공학ㆍ화학ㆍ약학 등 관련학과 석사학위 수여자가 있다.

제일약품 제일헬스케어 품질관리 약사(~6/20일)

제품표준서ㆍ제품 품질평가ㆍ적격성평가ㆍ문서관리 등 GMP 규정관리 및 준수, 의약품 제조관리, 성적성(COA) 발행 업무 등을 담당한다. 대졸 이상으로 약사 면허를 소지해야 한다. 관련 업무 경험자를 우대한다.

지오영 천안센터 의약품 품질관리 약사(~6/2일)

의약품 도매상 도매관리 및 품질관리 업무를 담당한다. 경력은 무관하며 약사 자격증을 소지한 사람을 뽑는다. 근무 요일 및 근무 시간 협의가 가능하다.

삼천당제약 수출팀 RA(~6/2일)

완제의약품 수출 등록 업무로 글로벌 프로젝트 인허가 프로세스 확인, CTD 작성, 해외인허가 관련 글로벌 파트너 커뮤니케이션 등을 수행한다. 4년제 대학 졸업자로 자연계열ㆍ생물ㆍ화학ㆍ약학ㆍ생명과학 전공한 4년제 대학 졸업자로 영어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우대 사항에는 내제약사 완제 의약품 CTD 업무 및 인허가 경험자, 국내 제약사 QC&QA CTD 업무 경험자가 있다.

삼천당제약 수출팀 해외영업(관리)(~6/2일)

완제의약품 해외영업 및 영업 관리 업무로 완제의약품 해외영업 및 해외 마케팅, 수출거래선 커머셜 오더 및 선적 관리, 해외영업 및 Supply Chain 관련 글로벌 파트너 커뮤니케이션 등을 수행한다. 어문ㆍ상경ㆍ자연계열 및 생물ㆍ화학ㆍ약학ㆍ생명과학 관련 4년제 대학 졸업자로 영어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국내제약사 의약품 해외 영업 및 Supply Chain 관리 경험자를 우대한다.

아임메드 디지털 치료기기 연구기획(~5/30일)

디지털 치료기기 연구개발 참여, 정신질환 분야 디지털 치료기기 임상 연구 설계, 디지털 치료기기 제품화 지원 근거기반 연구 기획, 데이터 분석 및 활용 지원 업무를 수행한다. 석사 이상으로 정신의학ㆍ임상 심리학 임상 연구 경력 또는 임상경력, 주요 정신장애의 디지털 치료기기 제품화를 위한 치료기전 이해 및 적용 능력 등이 필요하다. 우대 사항에는 의학ㆍ약학ㆍ임상 심리학ㆍ임상 신경과학 계열 전공자, 데이터 사이언스 및 통계 분석 가능자, 혁신 의료기기 제품화 연구 경험자, 임상시험 업무 경험자가 있다.

차병원∙바이오그룹 R&D 줄기세포 연구 총괄(~6/4일)

줄기세포 치료 및 재생 의학 기술 개발, 줄기세포의 생물학적 특성과 잠재적 응용 분야 연구 및 개발, 기술 혁신을 통한 줄기세포 기반 난치성 세포치료제 개발, 배아ㆍ체세포 복제 연구, 표적 항암제 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줄기세포 연구 및 재생 의학 분야에서 10년 이상 연구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 생명과학ㆍ생물학ㆍ의학 등 관련 분야 석ㆍ박사 학위와 글로벌 연구 및 국제 학술지에서 논문 발표 경험이 있어야 한다.

차병원∙바이오그룹 R&D 유전체 연구 총괄(~6/4일)

유전체 연구 책임자로 유전체 검사 기반 헬스케어사업 연구, 유전체 분석 및 해석을 위한 실험 및 데이터 분석 수행, 질병 유전체 연구를 위한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및 리소스 구축 업무 등을 수행한다. 유전학ㆍ분자생물학∙생명공학 등 관련 분야에서 석ㆍ박사 학위를 보유한 사람으로 유전체 및 생물정보학 분야에서 10년 이상의 경험, 유전체 데이터 분석 도구 및 프로그래밍 언어에 능숙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