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차절단 링커, 정상세포 항암 약물 흡수 최소화하며 효력 유지
ADC 페이로드 'PBX-7 시리즈' 전임상 추가 데이터도 함께 공개

피노바이오(대표 정두영)가 자사 항체약물접합체(ADC) 페이로드(Payload) 'PBX-7 시리즈'와 신규 '순차절단 링커'의 조합을 통한 유효성 및 안전성을 2024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공개한다. 회사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AACR 2024에서 자사 개발 ADC 플랫폼의 전임상 결과를 공개했다고 8일 밝혔다.

회사는 작년에 이어 올해 2년 연속 AACR에 참가해 자체 개발한 ADC 페이로드 PBX-7 시리즈의 추가 데이터와 신규 링커를 최초 공개했다. 페이로드는 ADC 구성요소 중 독성을 가지는 약물을 나타내며, 링커는 이 약물과 ADC의 중심잇 항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피노바이오 관계자는 "PBX-7 시리즈는 다양한 전임상 모델에서 '엔허투(성분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 대비 유의미한 항암 효능과 안전성을 보여줬다"며 "로슈의 HER2 타깃 ADC인 '캐싸일라(성분 트라스투주맙엠탄신)'에 내성이 생긴 유방암 세포주 'JIMT-1'를 이식한 동물 모델에서 PBX-7 시리즈를 적용한 ADC는 엔허투 대비 우월한 종양 억제효과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이어 "새로운 약물 3종의 in vitro(시험관 내) 실험에서 엔허투 대비 동등 수준 이상의 '인접 종양세포 사멸 효과(bystander effect)'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 효과는 약물이 타깃 주변으로 퍼지며 인접한 암세포까지 연이어 제거하는 기전으로, 엔허투의 차별화된 경쟁력 중 하나다. 안전성 실험에서도 영장류 모델 독성평가에서 최대 30㎎/㎏ 용량까지 이상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피노바이오는 이날 행사에서 신규 순차절단 링커도 최초로 공개됐다. 피노바이오가 독자 개발한 이 링커는 두 종류의 효소가 순차적으로 작동했을 때만 약물을 방출하고, 친수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것이 특징이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 단일 효소 링커의 경우 일부 약물이 세포 밖에서 분리돼 전신 독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면서 "반면 순차절단 링커는 구조상 동시에 작동할 수 없는 두 효소가 순차적으로 작동해야만 약물이 방출되도록 설계돼 정상세포에 항암 약물이 흡수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효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회사는 이 기술을 통해 기존 ADC에서 나타나는 간질성폐질환(ILD), 호중구감소증 같은 부작용 발생 위험도 낮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두영 피노바이오 대표는 "PBX-7 시리즈 페이로드 개발에 이어 탁월한 성능의 신규 링커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회사가 보유한 ADC 플랫폼 기술을 한단계 더 끌어올리고 확장시킬 수 있었다"며 "이를 통해 효력과 안정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