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 수상은 '무궁무진한' 팀, AI 활용한 파킨슨병 치료제 아이디어 발표

정승원(사진 오른쪽) 한올바이오파마 대표와 대상을 받은 '무궁무진한(이화여대 장나영 학생과 덕성여대 김예진 학생)'팀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한올바이오파마
정승원(사진 오른쪽) 한올바이오파마 대표와 대상을 받은 '무궁무진한(이화여대 장나영 학생과 덕성여대 김예진 학생)'팀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한올바이오파마

한올바이오파마(대표 정승원ㆍ박수진)는 미국 현지법인과 보스턴 바이오텍 클러스터 투어 기회를 제공하는 제2회 '전국 약대생 아이디어 공모전'이 마무리됐다고 3일 밝혔다.

제2회 전국 약대생 아이디어 공모전 영예의 '대상'은 무궁무진한(이화여대 장나영ㆍ덕성여대 김예진) 팀이 수상했다. 이어 연듀(연세대 박정현ㆍ이준근)와 심사숙고(숙명여대 이용은ㆍ제선영) 팀이 '최우수상' 수상자에 이름을 올렸다.

약대생 아이디어 공모전은 국내 약대생을 대상으로 신약 개발에 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올바이오파마가 기획했다. 공모전 대상 수상팀은 5박 6일간 한올바이오파마의 미국법인이 위치한 미국 록빌(Rockville)과 보스턴 지역 내 신약 개발 현장 탐방 자격이 주어진다. 최우수상 수상팀에게는 의료진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학술 심포지엄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개발'을 주제로 한올바이오파마 신약 개발 과정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모집했다. 그 결과 총 17팀의 아이디어를 심사해 총 7편의 본선 진출작을 선정했다.

본선은 대면 발표 형태로 심사위원과 본선 진출팀 모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현장에는 정승원 한올바이오파마 대표를 비롯한 연구개발(R&D)ㆍ특허ㆍ오픈 콜라보레이션 등 신약 개발 전문가들이 참여해 아이디어를 듣고 피드백을 제공했다. 심사 기준은 논리력, 창의성, 구체성, 실용성 등으로 실시간 점수 집계를 통해 대상 1팀과 최우수상 2팀을 최종 선정했다.

대상을 받은 무궁무진한 팀은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을 위한 후보물질 발굴 및 스크리닝 과정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파킨슨병 유발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 양상을 통해 질병 고위험군 사용자들에게 맞춤형 건강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환자들의 임상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 아이디어 등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나가기 위한 방향성을 제안해 호응을 얻었다고 회사는 밝혔다.

무궁무진한 팀의 덕성여대 김예진 학생은 "제1회 공모전에 참여했던 선배의 추천으로 공모전을 알게 됐는데, 진로 고민을 해소할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 참여하게 됐다"며 "한올바이오파마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기술과 약학이 함께 발전해야 할 방향성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밝혔다.

정승원 한올바이오파마 대표는 "올해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기반으로 수준급의 아이디어를 제안한 학생들이 많아 회사의 아이디어 공모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음을 실감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약대생이 신약 개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해 미래 신약 개발 인재 육성에 기여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