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스타틴+오메가3 시장, 전년비 35% 증가… 유나이티드·건일 주도
대웅바이오·한미약품 등 로수바스타틴 복합제 상반기 출시 전망

국내에서 약 430억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오메가3+스타틴' 복합제 시장이 후발 제품의 줄 지은 출시가 예고되면서 올해부터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건일제약이 기존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던 로수바스타틴+오메가3 복합제(이하 로수바스타틴 복합제) 시장에 이어 2022년 말부터 아토르바스타틴+오메가3 복합제(이하 아토르바스타틴 복합제) 시장에 뛰어 들었다. 지난달 29일에는 대웅바이오가 로수바스타틴 복합제 '크라티지'를 허가받으며, 올해 상반기 중 출시가 예상된다. 또 작년 8월 허가된 한미약품의 로수바스타틴 복합제 '오메스트' 올해 출시 여부도 시장 판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국내 시판 중인 오메가3+스타틴 복합제는 로수바스타틴 또는 아토르바스타틴 포함 여부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 로수바스타틴 복합제 시장은 성장이 정체되고 있는 반면, 비교적 신규 시장인 아토르바스타틴 복합제 시장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2~2023년 로수바스타틴+오메가3 복합제 원외처방액 / 그래픽=황재선 기자
2022~2023년 로수바스타틴+오메가3 복합제 원외처방액 / 그래픽=황재선 기자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원외처방액은 로수바스타틴 복합제가 2023년 약 131억6000만원으로 전년 129억5000만원 대비 1.6% 증가하는데 그친 반면, 아토르바스타틴 복합제는 2023년 약 306억4000만원으로 전년 194억6000만원 대비 5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스타틴+복합제 시장으로 보면 2023년 약 438억원으로, 전년 324억1000만원 대비 35%가량 성장한 것이다.

시판 중인 로수바스타틴 복합제를 살펴보면, △로수메가(건일제약) △로제코(제일약품) △뉴마코 알(유유제약) △로수바코(한국프라임제약) △토탈산트(보령) △메가 엠 듀얼(씨엠지제약/안국약품) △로수코마(휴텍스) △메가로반(경동제약) △로메가(건일바이오팜) 등이 있다. 작년 기준 로수메가가 약 84억2000만원(전년비 -2.4%)으로 원외 처방 1위를 기록했으며, 로제코가 12억9000만원(전년비 -4.5%)으로 뒤를 이었다.

2022~2023년 아토르바스타틴+오메가3 복합제 원외처방액 / 그래픽=황재선 기자
2022~2023년 아토르바스타틴+오메가3 복합제 원외처방액 / 그래픽=황재선 기자

아토르바스타틴 복합제 시장은 3가지 용량 품목(2.5/1000㎎, 5/1000㎎, 10/1000㎎)을 보유한 한국유나이티드제약(아트맥 콤비젤)이 독주 체제를 이어가고 있다. 이 시장은 작년 건일제약(아토메가)과 대한뉴팜(뉴토메가)이 합류했지만, 아직 시장 점유율에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지난해 원외처방액을 살펴보면, △아트맥 콤비젤 약 297억3000만원(전년비 +53.2%) △아토메가 6억3000만원(전년비 +944%) △뉴토메가 2억8000만원(신규) 등으로, 아트맥 콤비젤의 성장에 힘입어 아토르바스타틴 복합제 시장은 전년비 57.4% 증가한 원외처방액 306억4000만원을 기록했다.

현재 이들 2개 복합제의 최대 수탁 생산을 맡고 있는 업체는 건일제약이다. 건일제약은 △유유제약 △한국프라임제약 △한국휴텍스제약 △제일약품 △경동제약 △씨엠지제약 △대웅바이오 △보령 △건일바이오팜 등의 로수바스타틴 복합제 생산을 맡고 있으며, 아토르바스타틴 복합제는 △대한뉴팜 △한국휴텍스제약 △건일바이오팜 △휴온스 등 업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반면 한국유나이티드제약과 하나제약은 현재 자사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한미약품도 시판 시점에 맞춰 제품 생산을 자사 공장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