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O 계약 체결… 세포주 개발·임상물질 생산 등 항체 개발 서비스 제공
"ADC 분야 경쟁력 확보 위해 국내 바이오텍과 협업 강화 나설 것"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이하 이하 레고켐바이오)와 항체약물접합체(ADC) 치료제 개발을 위한 협업에 나선다.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 존림)는 국내 ADC 대표 주자로 꼽히는 레고켐바이오(대표 김용주)와 위탁개발(CDO) 신규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2006년 설립된 레고켐바이오는 ADC 기술 및 합성신약 분야에 차별적인 연구개발(R&D) 역량을 보유한 바이오 벤처다. 특히 지난해 대장암 등 고형암 대상 ADC 치료제 후보물질인 'LCB84(개발코드명)'를 미국 존슨앤드존슨 자회사인 얀센바이오텍에 최대 17억달러(2조2400억원)에 기술이전하면서 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지금까지 레고켐바이오가 글로벌 제약사들과 맺은 기술이전(L/O) 계약은 총 13건으로, 최대 8조7000억원 규모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ADC 치료제 개발에 필수적인 항체 개발에 참여한다. 세포주 개발부터 임상물질 생산 전반에 걸쳐 CDO 서비스를 레고켐바이오에 제공하기로 했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차세대 바이오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ADC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투자 활동을 적극적으로 이어나갈 것"이라며 "레고켐바이오와 같은 국내 유망한 바이오텍과 협업을 강화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주 레고켐바이오 대표는 "기존 해외 기업을 통해서만 ADC용 항체를 공급받아왔지만, 이번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국내 공급망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연내 준공을 목표로 ADC 의약품 전용 생산시설 건설을 추진 중이다. 또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펀드'를 통해 ADC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유망한 바이오 기업들에 투자한 바 있다. 지난해 4월에는 ADC 링커 및 접합 기술 개발사인 스위스 '아라리스바이오텍(Araris Biotech)'에 투자한 데 이어, 같은해 9월에는 국내 바이오 기업인 '에임드바이오(AimedBio)'에 투자했다.
관련기사
- 삼성바이오로직스, 업계 최초 '영업익 1조' 돌파… "연매출 4조 눈앞"
- 삼성바이오로직스, 에코바디스 ESG 평가서 최고등급 '플래티넘' 획득
- 삼성바이오로직스 "5공장·ADC 확장으로 성장 이어간다"
-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2024년 핵심 키워드는 '4E'"
- 레고켐바이오, 1조 R&D 자금으로 '비전 2030' 조기 달성 정조준
- 박세진 사장 "한 달 만에 체결된 오리온과의 빅딜, 그게 사실은…"
- 삼바와 손잡은 레고켐바이오… "ADC용 항체 공급망 다변화 나서"
- K제약바이오 'ADC 플랫폼' 기반 신사업 역량 제고, 올해 분수령 되나
- 삼성바이오로직스, CDP 평가서 '리더십 A-' 등급 획득
- "바이오텍 ADC 임상 어려워… 대기업·제약사와 협업만이 해법"
- 삼성바이오로직스, 'K바이오 동반성장' 계획 공유
- 삼성바이오, 서울대와 '바이오 R&D 인재' 육성 나선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글로벌 제약사 UCB와 3819억 위탁생산계약 체결
- Samsung Biologics Inks $306mn Contract with Global Pharma UC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