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영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ICOMES 2023서 발표
"시타글립틴, 다파글리플로진의 서로 다른 메커니즘이 상호 보완 효과"
"새로운 당뇨 치료 패러다임, 심장·신장 위험 고려한 환자 맞춤형 처방"

이은영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가 '다파글리플로진과 시타글립틴, 메트포르민 병용요법의 심장-신장 이점(The Cardio-Renal Benefits of Dapagliflozin and (Metformin/Sitagliptin) combination therapy)'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 사진=황재선 기자
이은영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가 '다파글리플로진과 시타글립틴, 메트포르민 병용요법의 심장-신장 이점(The Cardio-Renal Benefits of Dapagliflozin and (Metformin/Sitagliptin) combination therapy)'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 사진=황재선 기자

종근당이 개발한 SGLT-2 억제제+DPP-4 억제제 복합제 '엑시글루에스정(성분 다파글리플로진+시타글립틴)'이 심혈관 및 신장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훌륭한 치료옵션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대한비만학회가 지난 7일부터 3일간 개최하는 'ICOMES(국제 비만 및 대사증후군 학회)'에서 이은영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다파글리플로진과 시타글립틴, 메트포르민 병용요법의 심장-신장 이점(The Cardio-Renal Benefits of Dapagliflozin and (Metformin/Sitagliptin) combination therapy)'을 주제로 8일 오찬(luncheon) 세션을 진행했다.

이은영 교수는 "한국이 빠르게 노령화됨에 따라 당뇨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며 "이들에게서 심부전, 뇌졸중, 만성신장질환, 말초동맥질환 등 심장 및 신장 관련 질환의 발병률 및 그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것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한국은 2020년 기준 성인 16.7%가 당뇨병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중 65세 이상이 약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율 또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 당뇨 환자는 정상인보다 심부전과 말기(end-stage) 신질환의 위험이 4.21배, 심근경색증 위험이 5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심혈관 사건(MACE)도 마찬가지로 더 많이 발생했다.

이은영 교수는 "그동안의 당뇨 관리는 혈당 수치를 낮추는데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점차 개인 상황에 맞춰 심장과 신장 문제를 최소화하는 맞춤 치료로 그 양상이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ADA(미국당뇨병학회)에서 발간한 가이드라인을 보면, SGLT-2 억제제가 ASCVD(동맥경화성심혈관질환), 심부전, 만성신장질환(ESKD) 환자에게 처음으로 고려돼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DECLARE-TIMI 58 연구 심부전 환자 하위그룹의 심혈관계 질환 이점 분석 / 사진=황재선 기자 
DECLARE-TIMI 58 연구 심부전 환자 하위그룹의 심혈관계 질환 이점 분석 / 사진=황재선 기자 

 

DECLARE-TIMI 58,

다파글리플로진의 심혈관·신장 질환 이점 및 체중 감소 입증

DECLARE-TIMI 58 연구 결과, 다파글리플로진 투여군에서 신장 복합 결과 위험이 4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사진=황재선 기자

이은영 교수는 SGLT-2 억제제가 심혈관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DECLARE-TIMI 58' 연구를 소개했다. 이 연구는 33개국 1만7160명의 환자가 참여한 심혈관계 영향 연구(CVOT)로, 환자들에게 포시가(성분 다파글리플로진) 10㎎을 복용시킨 후 1차 유효성 평가변수인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hHF)'과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CV death)', 즉 MACE를 확인했다.

이 교수는 "연구 결과, hHF와 CV death는 대조군 대비 17% 위험도가 낮아졌고, 이전에 심근경색(MI)을 가진 환자의 MACE는 16%만큼 위험도가 낮아졌다"며 "이 경향은 심혈관 위험 요인을 가진 환자군 및 과거력이 있는 환자군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신장에서의 임상적 이점도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90% 이상이 eGFR(사구체여과율) 60㎖/min/1.73㎡ 이하 수준의 신장 상태를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았지만, 다파글리플로진 투여 환자군은 신장 복합 결과(Renal composite outcomes) 위험이 4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성신질환, 신장질환으로 인한 사망, 단백뇨의 발생도 줄었다.

다파글리플로진 투여군은 체중 감소 또한 보였는데, 24주 투여 기준으로 평균 약 2.1㎏의 감량을 보였으며, 주목할 만한 심혈관 및 신장 관련 이상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

 

당뇨 치료 새 패러다임,

저혈당 위험, 심혈관·신장질환 이점 가진 DPP-4i+SGLT2i 복합제

DPP-4 억제제와 SGLT-2 억제제 간 상호 보완 효과 / 사진=황재선 기자

최근 당뇨 치료 패러다임이 바뀜에 따라, 저혈당의 위험과 심혈관질환의 안전성을 고려한 의약품들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은영 교수에 따르면 DPP-4 억제제, SGLT-2 억제제가 이 조건에 부합된다.

DPP-4 억제제는 혈당 강화 호르몬인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GLP-1'을 분해시키는 DPP-4의 작용을 억제한다. SGLT-2 억제제는 DPP-4 억제제와 다르게 비인슐린의존성으로, 신장의 포도당 재흡수를 저해해 포도당 배출을 촉진시켜 혈당을 조절한다.

두 성분은 모두 저혈당 위험이 낮으며, ASCVD 및 심부전 차원에서 이점 혹은 잠재적 이점이 있다고 입증됐다. 게다가 SGLT-2 억제제는 체중 감소 효과도 입증된 상황이다.

이 교수는 심부전, 만성신장질환, 심혈관질환 과거력이 있는 환자들에게 SGLT-2 억제제를 활용한 치료를 강력하게 추천한다고 설명했다. 또 이런 이점은 DPP-4 억제제와 함께 쓰였을 때 더욱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이런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복합제로 종근당의 '엑시글루에스정'을 소개하며, 시타글립틴 및 다파글리플로진 병용요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RCT(임상시험) 및 FAERS(FDA 이상사례 보고시스템) 데이터를 활용한 메타분석 결과도 발표했다.

메타분석은 다파글리플로진+시타글립틴±메트포르민군, 시타글립틴+메트포르민군, 시타글립틴 단일군 데이터를 활용해 디자인됐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파글리플로진 10㎎ 투여군에서 당화혈색소 및 공복 혈중 포도당 농도가 상당히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파글리플로진과 시타글립틴 병용 투여 효과를 확인한 메타분석 결과 / 사진=황재선 기자

데이터를 살펴보면, 24주 시점에서 다파글리플로진 병용요법 환자군은 기저치 대비 당화혈색소 0.5% 감소, 공복 혈중 포도당 수치 24.1㎎/dl 감소, 체중은 2.1㎏ 감소, 수축기 혈압 6㎜Hg 감소(8주 기준) 등 효과가 나타났다.

이 교수는 "엑시글루에스는 저혈당 위험 및 심장, 신장 질환 유무와 관계 없이 넓은 범위의 환자 치료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치료옵션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시타글립틴과 다파글리플로진이 가지는 서로 다른 메커니즘이 혈당 조절, 체중 감량, 혈압 조절 등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어 앞으로 당뇨 환자 치료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엑시글루에스는 시타글립틴과 다파글리플로진 성분 조합으로 개발 및 출시된 첫 당뇨약이다. 작년 7월 허가된 이 제품은 동일 성분 경쟁 제품보다 빠른 지난 5월부터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된 바 있다. 급여는 메트포르민을 추가로 처방한 경우만 가능하다.

시타글립틴+다파글리플로진 복합제의 경우, 미국 머크(MSD)의 '자누비아(성분 시타글립틴)'가 지난 9월 1일까지 특허가 남아있던 상황이라 타 개발사들은 사전에 출시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다만 이 제품의 국내 판권을 보유한 종근당의 경우 경쟁사보다 빠른 출시를 할 수 있었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