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 "정부의 바이오 산업 초강대국 육성 전략 환영"

한국바이오협회는 15일 정부의 바이오 산업 초강대국 육성 전략과 관련, "환영한다"고 밝혔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15일 대통령 주재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서 바이오, 반도체 등 6대 첨단산업 분야서 초강대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우리 정부가 총력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육성 전략을 적극 환영한다"고 밝혔다.

협회 관계자는 "지난해 5월 중국, 9월 미국 정부가 연달아 바이오산업 및 바이오경제를 집중 육성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며 "우리 정부와 국회도 최근 바이오 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을 수립하고,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을 통해 바이오산업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를 추진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첨단산업으로 주목받는 바이오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바이오의약품 생산역량과 바이오시밀러 등 특정 제품의 경쟁력이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렀지만, 여전히 국내 바이오산업 규모는 선진국 등 세계 주요 시장과 비교해 열등한 편이다. 작년 기준 세계 1위 바이오기업인 화이자의 매출은 약 1003억 달러(약 123조원)에 달해, 국내 최대 바이오기업의 매출액이 약 3조원인 점과 비교하면 여전히 현격한 격차가 있다.

협회 관계자는 "최근 국내 바이오 업계에 대한 국내외 투자가 위축되면서, 자금조달 및 R&D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R&D 지원 확대 및 대규모 펀드 조성, 세제 확대 등 바이오산업에 대한 투자 지원 확대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해서도 지속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 대학교서 바이오 관련 전공자를 다수 배출하고 있지만, 다수의 기업은 인재 채용 후 기초부터 다시 실무교육을 하고 있다"며 "정부가 K-NIBRT 등 실습 공공 인프라를 통한 의약품 생산인력의 맞춤식 양성을 위해 적극 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앞으로 업계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생산 이외에도 개발, 임상, 인허가 등 의약품 전주기에 걸친 다양한 현장형 인력양성 프로그램도 확대돼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공급 확대 측면의 육성 정책과 더불어 수요 창출 관점의 규제혁신 정책을 균형감 있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며, 첨단 바이오 신기술에 선제 대응할 수 있도록 우리 정부가 선진화된 규제 시스템을 갖추고 전문 심사인력을 지속 확충하는 등 규제 측면에서도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