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epOmics Marker, 악성 분자아형 치료표적 발굴해 신약개발 근거 제시

글로벌 유전체 분석서비스 및 AI 기반 신약개발기업을 표방하는 테라젠바이오(대표 황태순)는 AI기반 환자분류 분자 아형 산출장치 'DeepOmics Marker™'에 대한 국내 특허 취득을 완료했다.
7일 회사 측에 따르면 특허 정식명칭은 '분자 아형 산출 장치, 질환에 대한 분자 아형 개수를 산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eepOmics Marker™'다. 딥러닝 기반 프로그램을 활용해 효과적으로 환자를 분류하고, 각 질환 세부 아형 별 주요 마커를 도출해 환자별 맞춤 약 또는 신약개발 표적을 찾아내는 것이 목표다.
회사는 현재까지 DeepOmics Marker™에 대한 2개의 특허를, DeepOmics Neo™에 대한 3개의 특허를 취득했다. 향후 회사는 유전체 빅데이터 서비스 'DeepOmics™'와 세부 서비스의 특허 출원을 통해 환자별 맞춤 치료 타깃과 신약개발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DeepOmics Marker™는 기존 분석방식과 달리 각 샘플에서 정상 대비 유전자 간의 발현 순위 차이를 대입해 분석하는 획기적인 방법으로, 기존 방법보다 정확한 질병의 분류가 가능하다. 또한 자동으로 질환 코호트 중 분자아형을 발굴하므로 기존방법으로 분자아형 분류가 어려웠던 질환의 분자아형 발굴이 가능해졌다.
특히 대규모 유방암 코호트 분석결과, 기존 분자아형 분류법으로 저위험군으로 분류되는 Luminal A 분자아형 환자중에서 예후가 나쁜 환자들을 DeepOmics MarkerTM으로 감별할 수 있어 그 우수한 성능이 검증됐다.
유전체 빅데이터 서비스 '딥오믹스(DeepOmics™)'는 테라젠바이오가 개발하고 있는 AI기반 환자별 진단 예후분석 플랫폼이다. 항암백신 연구개발을 위한 플랫폼 DeepOmics Neo™와 개별 환자별 동반진단 전 증상과 예후를 분석하는 플랫폼 DeepOmics Marker™. 환자의 약물 작용을 분석하는 'DeepOmics Network™', 효과적인 치료 약물 타깃을 선별하는 'DeepOmics Target™'으로 구성돼 있다.
황태순 대표는 "각 환자에 DeepOmics Marker™를 적용해 세밀한 분자아형으로 분류하게 되면, 개인별 기존 약제에 대한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다"며 "특히 현재 치료제가 없는 악성 분자아형들의 치료표적을 발굴해 신약개발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테라젠바이오는 암 유전체 분석을 통해 예측한 맞춤형 항원을 메신저 리보핵산(mRNA), 펩타이드(아미노산 결합체), 수지상세포 등의 형태로 투여, 생체 내 면역시스템을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제거하는 원리의 개인맞춤 항암백신을 개발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