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식치료 성분 부데소나이드 · 아포모테롤 복합… 전신 부작용 최소화

한국유나이티드제약(대표 강덕영)이 천식 치료제로 개발해 온 '부데소나이드'와 '아포르모테롤' 성분 복합제가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성공할 것이란 주장을 펼쳤다.

이 복합제는 'UI030'라는 물질명으로 기존 코로나 치료제 항 바이러스 효능의 10배 이상 바이러스 억제 효능을 가지고 있는 흡입 복합개량신약이다.

미국 텍사스의 내과의사가 미국 내 비즈니스 잡지 '포춘(Fortune)'지에 "해당 요법을 처방함으로써 환자들을 치료했다"고 밝혔다는 이유에서다.

27일 한국유나이드제약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의 내과의사 리처드 바틀렛(Richard Bartlett) 등은 부데소나이드 네불라이저(Budesonide nebulizer)를 포함한 칵테일 요법으로 코로나19의 치료가 가능하다고 최근 주장했다. 

그는 지난달 25일 미국 비즈니스 잡지 포춘(Fortune)지에 해당 요법을 처방함으로써 지난 3월부터 코로나19 환자 400명 이상을 치료했다고 했다. 칵테일 요법은 스테로이드 약물인 부데소나이드를 흡입시키는 코로나19 치료 방법이다.

이에 따라 리처드 바틀렛은 지난달 12일에 부데소나이드를 흡입시켜 실제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한 사례를 내용으로 국제학술지 '의학 인터넷 연구 저널,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에 논문을 투고하기도 했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생물안전센터 연구팀에서 사람 폐세포를 대상으로 항바이러스 효능평가 연구를 수행한 결과, 시클레소니드(Ciclesonide) 대비 5~10배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확인했다고 지난 19일 밝혔었다. 

시클레소니드는 렘데시비르보다 2배 가량 효과가 우수하다고 밝혀진 물질이다.

이에 따라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UI030을 코로나19 치료용 임상으로 진행하기로 했고 코로나19 환자 수가 많은 필리핀과 국내 임상을 추진, 내년 상반기에서 중순께 제품을 출시하겠다는 계획이다. 

부데소나이드 · 아포모테롤 흡입 복합 개량신약은 폐에 국소로 흡입되는 약물이라 폐 국소 염증작용을 완화하고 전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강덕영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대표는 "전세계가 치료제를 급하게 찾는 시점에서, 미국의 부데소나이드 흡입 치료사례를 바탕으로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의 부데소나이드 및 아포모테롤 복합 흡입개량신약의 임상 성공 가능성은 매우 높을 것"이라고 했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