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의사협회, 24일 긴급면담 진행 "견해 차이 여전"
문재인 대통령, 국민생명 담보한 집단행동 지지 받을 수 없다 '경고'

전공의들을 코로나19 진료현장에 복귀시키는 데는 일단 성공한 정부가 의료계까지 설득하지 못했다.
대한의사협회는 2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회사 최대집 회장과 국무총리가 참여해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지만 견해차이는 여전했다고 밝혔다.
정 국무총리는 1시간 동안 의협의 의견을 경청한 후 정부의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파악된다.
의협은 "허심탄회한 대화를 통해 양측은 코로나19 사태의 심각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했지만 동시에 여전한 입장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에 의협은 오는 26일 예정된 전국의사총파업 계획을 강행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보건복지부와 대화창구는 열어놨다.
의협은 "26일 전국의사총파업 계획은 변화가 없다"며 "복지부와 실무차원의 대화는 즉시 재개해 의료계 요구사항 수용을 통한 합리적인 해결을 모색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전공의들은 23일 3차 파업에 돌입했으나 오후 8시 정 국무총리와 만난 후 시국을 고려해 코로나19 진료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단체행동의 철회는 아니라고 못박았다.
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홈페이지에 긴급 면담결과를 게재했다. 내용을 보면, '정부는 대한전공의협의회를 포함한 의료계와 진정성 있는 논의를 시작한다, 이를 계기로 엄중한 코로나19 시국을 고려해 전공의들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진료에 적극 참여한다'고 합의했음을 알렸다.
아울러 전공의 단체행동의 철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의료계 집단행동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은 코로나19 위기극복에 뜻을 같이하자고 촉구하면서 위법한 상황에 단호하게 대응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4일 수석보좌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코로나 확산 저지에 국가적 역량을 모아야 할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하는 집단행동은 결코 지지받을 수 없다"며 "정부의 정책에 반대하거나 비판할 수 있지만 합법적인 선을 넘어서는 안 된다"고 피력했다.
문 대통령은 "국민의 생명권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휴진, 휴업 등의 위법한 집단적 실력 행사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또한 "공공의료의 확충은 우리 사회가 가야할 방향이며 의료인들도 공감할 것"이라며 "코로나 위기 극복에 우선 합심하고 상황이 안정된 후 대화로 해법을 찾자고 내민 정부의 손을 잡아달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