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모든 가능성 열려있다던 복지부, '정책 철회 없다' 반복"
복지부 "간담회 결렬됐지만 지속적 대화 요청할 것"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와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 긴급간담회가 서로의 입장차를 끝내 좁히지 못하고 마무리됐다.
의협은 21일 '제3차 젊은의사 단체행동' 및 26일부터 시작하는 '제2차 전국의사총파업단체행동'을 예정대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의협은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최대집 회장과 박능후 장관이 함께 참여하는 간담회를 가졌으나, 2시간 동안 논의에도 불구하고 양측의 입장 차이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의협에 따르면 이날 간담회에서 의협은 의료정책 추진 과정에 '협치' 부재를 인정하고 철회한 후 코로나19 대응에 전력을 다 하자고 제안했다.
지역간 의료격차 해소를 포함한 보건의료 미래 전반에 대한 깊이있는 논의는 코로나19를 안정상태로 돌린 뒤 협의체를 통해 진행하자는 의미였다.
그렇지만 복지부는 모든 가능성이 열려있다면서도 공식적인 철회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반복했다는 것이 의협 측 설명이다.
의협은 "대화 제안에 대해 환영한다면서도 정책의 철회가 불가능하다는 전제를 그대로 회의장까지 가지고 온 복지부에 대하여 유감의 뜻을 밝힌다"며 "의료계는 이미 예고된 21일 '제3차 젊은의사 단체행동' 및 26일부터 예정된 '제2차 전국의사총파업'을 예정대로 추진할 것"이라 전했다.
복지부 역시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복지부는 "의협을 중심으로 한 간담회 참석자들은 의대 증원, 공공의대 철회 및 첩약 폐지를 정부가 우선 선언한 이후에만, 이를 다시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대화가 종료됐다"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복지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지속적인 대화를 요청하며 앞으로도 계속 논의하고 협의해가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박능후 장관-최대집 의협회장 오늘 회동...갈등 해결 모색
- 醫·政갈등, 코19로 새국면..."일단 만나자"
- 복지부 "의협, 진전성있는 소통 합시다"
- 의협, 복지부에 회동 제안 "가능성 열어놓고 만나자"
- "선배로서 미안한 마음" 전임의 총파업 대열 합류
- 최대집 회장 "의사 단체행동 의미 살펴달라"
- 사회적거리두기 2단계 전국 확대...의료인 역할 복귀 촉구
- 전공의와 달리 의사들 설득 못해...의협, 26일 총파업 강행
- 경실련 "의사단체 파업 철회 안하면 의료법 위반으로 고발"
- "전국 의사 목소리 온라인에 모은다" 의료계 총파업 '비대면' 진행
- "수도권 소재 병원 전공의 진료업무 복귀하라" 강제명령 동원
- 수련병원 현장조사에 공정위까지 출동...정부 강경책 총동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