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성 교수 킨텔레스 1차 치료제 급여확대 기자간담서 밝혀
"장에만 작용하는 특이 기전으로 전신면역작용 우려 덜어"
"국내 치료 환경에서 염증성 장질환을 겪는 환자들은 우선 스테로이드와 면역억제제를 사용해야지만, 생물학적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합병증 위험이 있는 고위험군 환자들에게는 생물학적제제를 먼저 쓸 수 있는 탑다운 방식이 필요하다."
김주성 대한장연구학회 회장(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원장)은 12일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 치료제 킨텔레스의 1차 치료제 급여 확대 기념 기자간담에서 이같이 말했다. 염증성 장 질환(IBD)은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대표적이며, 원인을 알 수 없는 염증이 장관 내에 발생하는 만성질환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국내 궤양성 대장염 환자는 4만6681명, 크론병은 2만4133명이다.

그동안 킨텔레스를 1차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는 해외와 달리 국내에서는 허가사항에 따라 TNF-α 억제제 치료에 실패한 환자에게만 2차로 사용해야 했다. 하지만 올해 초 1차 치료제로써 적응증을 확대하고, 지난 1일 급여까지 획득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TNF-α 억제제 사용 경험과 상관없이 1차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IBD 생물학적제제로 주로 쓰이는 TNF-α 억제제로는 휴미라(아달리무맙), 레미케이드(인플라시맙)가 있다.
김 회장은 "크론병의 경우 어린 나이에 발병하거나, 염증 부위가 넓은 경우가 고위험군에 속하며, 특히 흡연을 하거나 스테로이드제 복용 경험이 있는 경우도 고위험군에 속한다"며 "궤양성대장염의 경우 누적된 장점막 손상을 막을 수 있어 제한적으로 생물학적제제가 효과가 좋다"고 설명했다.
천재희 신촌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도 최근 킨텔레스의 임상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휴미라 대비 킨델레스가 가지는 임상적 이점에 대해서 설명했다.
천 교수는 "중등도-중증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TNF-α 억제제 중 하나인 아달리무맙과 킨텔레스의 효과를 직접 비교한 임상연구에서 킨텔레스가 임상적 관해 및 장 점막 치유 효과가 우월함을 확인했다"며 "뿐만 아니라 심각한 감염과 부작용 비율도 TNF-α 억제제(아달리무맙)보다 낮았기 때문에 안전성 프로파일 측면에서도 주목해야 할 결과"라고 설명했다.

킨텔레스의 VARSITY 연구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킨텔레스와 아달리무맙의 효과를 직접 비교한 임상연구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킨텔레스(베돌리주맙 정맥주사)로 치료 받은 환자의 임상적 관해 비율은 52주차에 31.3%(n=120/383)였으나, 대조군(아달리무맙 피하주사)의 임상적 관해 비율은22.5%(n=87/386)에 그쳤다. 또한 킨텔레스로 치료 받은 환자 중 39.7%(n=152/383)가 장 점막 치유 효과를 보인 것과 달리 대조군에서는 27.7%(n=107/386)만이 효과를 확인해 킨텔레스가 통계적으로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
또, IBD는 면역계 매개 질환이기 때문에, 만성 관절염, 면역 매개 피부질환, 눈의 염증, 담관염, 구내염, 근육염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이밖에 영양실조, 빈혈, 골다공증, 신장결석, 담석, 혈전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미국소화기학회(AGA)에서 생물학적 제제로 치료를 시작하는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경우 킨텔레스와 인플릭시맙을 권장하기도 했다.
천 교수는 "고령 환자나 기회감염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는 킨텔레스, 증상이 심해 빠른 효능을 보여야 하는 환자에게는 인플릭시맙이 더 효과적인 약제가 될 것"이라며 환자 별 맞춤형 처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AGA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국내 가이드라인 개정작업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가이드라인 개정은 최근 IBD 질환에서 새로운 치료제가 출시되고, 급여 환경의 변화로 개정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올해부터 AGA 가이드라인에 따라 국내 가이드라인 개정 작업도 시작해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