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사퇴 촉구… "경제1순위 논리에만 사고 고착됐다"

"약국을 방역 물품 지원 대상으로 생각하지 않았다"고 발언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시도약사회들이 잇따라 비판 성명을 내고 있다.

부산시약사회(회장 변영석)도 3일 성명을 통해 "홍 부총리가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헌신한 약국과 약사에 폄하 발언을 한 데 대해 분노가 치민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월 3일 오후 마스크 제조업체 웰킵스(대표: 박종한)를 방문, 박종한 대표로부터 제품설명을 듣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월 3일 오후 마스크 제조업체 웰킵스(대표: 박종한)를 방문, 박종한 대표로부터 제품설명을 듣고 있다.

부산시약은 "국가적 감염병 비상사태인 코로나19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약사는 그 누구도 약국이 공적마스크 취급업소로 선정되는 걸 환영하지 않았다"며 "그럼에도 국민건강지킴이로서의 역할을 상기하며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공적마스크 취급으로 약사는 시민들로부터 상상을 초월하는 폭언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고스란히 받아야 했다고 부산시약은 주장했다.

그러면서 "약사들은 인지하기 전 먼저 언론보도로 판매지침이 달라지는 등 부실행정은 여지없이 반복돼 왔다"고 정부를 비판했다.

부산시약은 "국가에서 공적마스크 판매채널로 약국을 선정한 것은 약국이 이미 국가방역시스템에 포함돼 있었고, 약사도 이 때문에 공적마스크 판매에 헌신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홍 부총리는 오로지 경제 논리에만 사고가 고착돼있다는 게 이번 발언으로 확인됐다는 비판이다.

부산시약은 "4개월 넘는 기간 동안 휴일까지 반납하면서까지 휴일지킴이약국으로 무조건적인 봉사를 해 온 약사에 정부기관의 수장이 절대 내뱉어서는 안되는 것이었다"며 "이는 그가 가진 사고를 그대로 보여준 것"이라고 비난했다.

홍 부총리의 경제논리를 반증하듯 의료민영화, 원격의료, 법인약국 등 대기업만 배불리고 서민을 도외시하는 정책에서 손을 떼지 못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부산시약은 "약국에 마스크를 무상으로 지원해 주기를 바라지도 않았다. 원해서 공적마스크를 취급한 것도 아니"라며 "약사를 보건의료인으로 판단해 공적마스크를 판매하게 만든 정부와, 그 정부를 신뢰했던 약사들의 믿음을 헌신짝처럼 내 던져진 약사들의 배신감과 허탈감이 극에 달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부산시약은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국가감염병사태가 발생할 경우 약사들은 정부를 신뢰하지 않고, 약국의 자발적인 참여도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홍남기 부총리는 전국 8만 약사에게 공식 사과하고 경제부총리와 기획재정부장관의 자리에서 자발적으로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부산시약은 "국가 감염병 사태발생 시 약국과 약사 직능의 역할 정립과 제도적 기반을 사전에 마련해 혼선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