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식약처, 국회에 추가경정예산 보고?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R&D) 투자 강화를 위해 1514억원이 투입된다. 감염병 비대면 인프라 구축 등에는 803억원이 지원된다. 

희귀필수의약품의 안정적 공급을 대비, 비축용 의약품을 구매하기 위해 42억원 증액한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7일 추가경정예산안을 국회에 보고했다. 

복지부의 추경예산은 총 1조542억원으로 1077억원이 감액됐다. 

3차 추경 주요내용을 보면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R&D)에 1514억원을 투입한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임상시험 전주기 지원, 국립 바이러스·감염병 연구소 인프라 확충 등 관련 연구개발에 1404억원,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임상시험센터 건립에 90억원, 체외진단의료기기센터 구축에 20억원이 책정됐다.

감염병 비대면 인프라 구축 등에는 총 803억원이 쓰인다. 

5G 네트워크 등을 활용해 병원 내 감염위험 최소화, 효율적 진료 가능한 스마트병원3곳 구축에 60억원이 들어간다. 병·의원 전자의무기록(EMR) 표준화 등 지원 예산은 56억원이다. 

호흡기 환자에 대한 안전한 진료체계 마련하고 2차 유행 가능성에 대비한 호흡기전담클리닉을 500개소 설치하는데 500억원을 사용한다.  

ICT 기기 활용해 의원과 보건소 통한 건강관리 사업 확대에 67억원을 투입한다. △의원급 만성질환 관리사업 참여자 ICT 기기 지원 33억원(6만명) △보건소 ICT 활용 방문건강관리 23억(22→30개소) △모바일 헬스케어 11억원(130→140개소)이 쓰인다.

긴급복지를 통해 생계를 위협받는 저소득 가구 지원을 확대하고(3만가구, 527억원) 보건소, 의료기관, 어린이집 대상 방역인력을 지원하는데(1010억원) 총 1537억원을 투입한다.

이와 함께 식약처는 지난 2차 추경대비 43억원이 감액된 5526억원으로 3차 추경예산을 책정됐다.

구체적으로 보면 희귀·필수의약품센터 지원을 29억8900만원에서 72억 400만원으로 42억원(141%) 증액했다. 희귀필수약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서다. 

반면 시급성이 떨어지는 사업에서 85억원을 감액했다.

의약품·의료기기 관련 세부사업을 보면 △의약품안전 감시 및 대응(2억6600만원 감액, -9.3%)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지원(5200만원 감액, -0.4%) △의료기기 안전감시 및 대응(1억1900만원 감액, -5.5%) △의료기기 허가심사 선진화(1억 600만원 감액, -4%) △안전평가원 관리운영(50억원 감액 -32%) 등에서 감액한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