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진흥원, 10일 오후 1회 정책포럼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영찬)은 10일 오후 2시부터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다이아몬드홀)에서 ‘제1회 한의약 글로벌 헬스케어 정책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제9회 글로벌 헬스케어와 의료관광에 관한 국제회의인 ‘Medical Korea 2018’의 세부 행사로, 보완?대체의학으로서 한의약의 해외진출과 환자 유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복지부는 이번 포럼을 통해 ‘한의약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국가별 전략 및 사례’를 주제로 대체의학과 통합의학의 수요가 있는 유럽, 미국, 베트남, 중동, 카자흐스탄 지역의 보건의료 현황과 지역특화 사례를 공유하는 장을 마련한다고 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전 세계 보완·대체의학(CAM: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시장은 2015년 403억 달러에서 2025년 1968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시장 변화에 대응해 중국(중의약), 일본(Kampo), 유럽 등에서 세계 보완·대체의학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에서도 2013년 이래로 한의약 해외환자유치와 해외진출 지원강화를 통해 해외환자를 꾸준히 유치해 오고 있다.
한의약 분야 외국인 환자는 2013년 9554명에서 2017년 2만 343명으로 2배 이상 성장했다. 2017년에 전체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 감소에도 한방의료기관의 유치실적의 증가(전년대비 12.9%)는 향후 한의약 해외진출사업 설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지난 3월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한방병원을 개설하는 등 한의약 해외진출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은 보완·대체의학으로 한의약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의료, 관광, IT 등을 융합한 한의약 의료관광 상품 개발, 한의약 해외의료의 기반 조성 등을 포함한 한의약 분야 해외환자 유치와 진출의 중장기 로드맵을 민관 협의체를 통해 그 결과를 연내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