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틸렉스 ·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 · 바이오큐어팜 ·
아이큐어비앤피 · 칸젠 · 리퓨어생명과학 · 펩진 참여
유틸렉스·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바이오큐어팜·아이큐어비앤피·칸젠·리퓨어생명과학·펩진 등 총 8개사는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 주최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 한양증권 공동 바이오포럼 / 2019년도 제2회 연구개발중심 우량 제약·바이오기업 IR(IPIR 2019 - Season 2) 행사에 참여했다.

기업들은 각 핵심사업, 사업추진 전략, 보유 핵심기술 및 파이프라인, 투자포인트 등에 관해 소개했다.
유틸렉스(대표이사 권병세)는 자가 유래 암항원 특이적 T세포치료제의 플랫폼 기술을 소개하고 혈액암 및 고형암 임상 결과와 향후 계획에 대해 공유했다.
또 면역항암 억제제의 반대기전인 면역함암 활성제 파이프라인 EU101, EU102의 작용 기전 및 비임상 결과를 소개했으며 부작용을 현저하게 줄인 CAR-T세포치료제 기술도 설명하며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대표이사 김용주)는 ADC(항체-약물 결합체) 원천기술인 컨쥬올(ConjuALL)을 소개하고, ADC 및 합성신약 파이프라인에 대한 개발현황을 발표했다. 또한 분기 첫 흑자 소식과 함께 최근 다케다 기술이전을 포함한 지금까지의 기술이전 성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바이오웨이(대표이사 김종우)는 PI3Kδ 억제기전 혈액암 치료제(Hematologic malignancies, Best in Class)와 비알콜성 지방간 치료제(NASH, First in Class) 파이프라인을 소개하고, 이들이 지닌 효능과 글로벌 경쟁력 및 향후 미국 내 임상 돌입과 국내외 기술수출에 대한 계획을 소개했다.
바이오큐어팜(대표이사 이상목)은 재발 및 불응성 급성백혈병(r/r B-ALL) 치료제로 유전자 세포치료제 기술인 CAR(Chimeric Antigen Receptor) 플랫폼을 이용한 BCP401(anti-CD19 CAR-T Cell)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전임상 연구 성과 발표와 향후 한국 및 글로벌 임상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아이큐어비앤피(대표이사 최영권)는 약물의 흡수 및 대사작용이 용이하지 않은 약물들에 대해서 약물의 흡수 및 투과도를 향상시킨 Drug Delivery System 기술을 통해 기존 주사제형 약물의 경구제형 변경을 통한 항암제 개량신약 개발 및 고가의 바이오단백질 의약품 개발 파이프라인 구축 관련 원천기술을 소개하고, 면역항암제와 병용시 메트로노믹 요법을 통한 암세포의 전이 및 사멸 등에 대한 그간의 연구성과와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칸젠(대표이사 박태규)은 설산에서 발굴한 보툴리눔 톡신 단백질을 재료로 피부투과기술이 적용된 바르는 보톨리눔 톡신 제품개발, 슈퍼항생제, 소양증치료제와 기존 면역항암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항체-면역세포) 링커 원천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면역항암제에 대해 소개하고, 2021년 유니콘 기업으로의 상장 계획을 다뤘다.
리퓨어생명과학(대표이사 김용상)은 AI 기반 항암제 연구개발 및 차별화된 헬스케어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는 회사로 국내/외 병원,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과 기술 교류를 통해 진행 중인 사업에 대해 소개하고, 보유중인 원천기술, 오픈 이노베이션 네트워크, AI 기반 신약개발 등의 장점 및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펩진(대표이사 탁상범)은 펩타이드 의약품들의 바이오시밀러 생산을 위한 고수율 재조합 펩타이드 생산 원천기술을 소개하고, 당뇨 및 비만치료제 펩타이드인 리라글루타이드의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 성과와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조합 관계자는 "이 IR 행사는 지난 3월을 시작으로 올해 11월까지 격월로 개최할 예정이며, 제약·바이오기업과 금융분야간 더욱 심도있는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매 시기마다 질환별/약효군 별 테마를 중심으로 상장사 및 비상장사의 IR을 이원화해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