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비만학회서 차세대 비만 신약 연구 4건 발표
HM17321, 근육 성장·지방 감소·혈당 조절 동시 입증
삼중작용제 HM15275는 안전성·지속성 기반 임상 2상 진입

한미약품이 미국비만학회(ObesityWeek 2025)에서 체중 감량과 근육 성장을 동시에 구현하는 신개념 비만치료제 연구 성과를 공개하며 글로벌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한미약품은 4일부터 7일까지(현지시각)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이번 학회에서 신개념 비만치료제 HM17321(LA-UCN2)과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 HM15275(LA-GLP/GIP/GCG) 관련 연구 4건을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HM17321은 근육 비대와 지방 분해를 동시에 유도해 '고품질 체중 감량'을 실현하도록 설계된 First-in-Class 신약으로, 한미의 자체 인공지능(AI) 기반 신약 설계 플랫폼 'HARP(Hanmi AI-driven Research Platform)'를 활용해 개발됐다.
기존 인크레틴(GLP-1 등) 기반 약물과 달리 비인크레틴 계열 기전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체중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학회에서 발표된 전임상 연구 결과에 따르면 HM17321은 식이유도 비만 동물 모델에서 mTOR 경로를 활성화해 근육 성장을 촉진하고 지방분해(lipolysis)를 유도해 지방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인슐린 저항성 개선 등 대사 기능 향상 효과도 확인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와 비교한 동물 실험에서는 HM17321 투여군이 더 큰 지방 감소와 근육량 증가를 보였으며, 에너지 소비량 또한 높게 나타났다. 복강 내 포도당 부하(ipGTT) 및 인슐린 내성 검사(ITT)에서도 세마글루타이드 대비 우수한 혈당 조절 능력을 확인했다. HM17321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상 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아 임상 단계에 진입했다.
또 다른 차세대 비만 신약 HM15275는 GLP-1, GIP, 글루카곤(GCG) 세 수용체 작용을 정밀 조합한 삼중작용제로, 체중 감소와 혈당 조절은 물론 다양한 대사질환 개선 효과까지 고려해 설계됐다. 이번 학회에서는 임상 1상에서 확인된 장기 지속성과 안전성, 지질·면역원성 분석 결과 등 추가 데이터를 공개했다. HM15275는 현재 FDA 승인 아래 임상 2상 단계에 진입해 있다.
한미약품 최인영 R&D센터장은 "주요 국제 학회에서 발표한 HM17321과 HM15275의 연구 결과는 한미가 인크레틴 및 대사질환 분야에서 20년 이상 연구를 지속하면서 축적한 과학적 전문성을 토대로 글로벌 무대에서 혁신 기술력을 입증한 성과"라며 "전세계 비만 환자들의 삶의 질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건강한 체중 감량을 실현하는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