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학술지 'Vaccine' 게재, 탄저 독소 중화 항체 형성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탄저백신 '배리트락스주(개발명: GC1109)'의 임상 2상 결과가 국제 학술지 'Vaccine'에 게재됐다고 3일 밝혔다.
배리트락스주는 GC녹십자와 질병관리청이 공동 개발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탄저백신으로 이번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총 5개 병원에서 진행댔다.
회사에 따르면 건강한 성인 240명을 대상으로 백신의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방식으로 수행됐다. 참여자들은 배리트락스주 또는 위약을 투여 받았고 연구진은 접종 후 생성된 항체 수준과 이상 반응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탄저 독소를 중화하는 항체가 기준치 이상 형성돼 백신 효과가 입증됐다. 이는 배리트락스주가 탄저균 감염 상황에서도 인체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분석된다.
안전성 평가에서는 배리트락스주 투여군의 주요 이상 사례는 주사 부위 통증, 근육통, 피로, 권태 등 대부분 경미한 수준이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또한 급성 이상 및 사망 사례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이 확인됐다.
회사 측은 배리트락스주는 약독화된 균을 직접 사용하는 기존 방식보다 안전성이 높고 필요시 신속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의 연구책임자 김남중 서울대학교병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학계와 산업계가 협력한 사례"이라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 개발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다. 국내 최초 재조합 탄저백신의 성공이 앞으로의 감염병 대응 연구와 백신 자급화에 의미 있는 발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창경 서울대학교병원 교수도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인 Vaccine지에 연구 결과가 등재돼 그 가치를 다시 한번 인정받은 점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정재욱 GC녹십자 R&D 부문장은 "이번 임상 결과를 통해 '배리트락스주'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며 "국산 탄저백신을 통해 국가 방역 체계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식약처, 녹십자 유전자재조합 탄저백신 '베리트락스' 허가
- 탄저백신 등 4월 한 달간 '145개 의료제품' 허가 받아
- "GMP도 거버넌스"... ESG경영서 '저평가'된 요소 주목
- "국가예방접종 백신 자급율 28.6% 불과...5년간 12차례 수급문제"
- 질병청,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에 290억 편성
- 'GC녹십자 X 질병청' 재조합 단백질 탄저백신 세계 첫 허가 신청
- [실적] 오르는 매출 속 떨어진 영업이익, GC녹십자 3Q 매출 6095억원
- 창사이래 첫 분기매출 6천억 돌파한 GC녹십자... '알리글로 효과'
- GC녹십자, '혈우병 환자 관절병증 예측 모델' 개발 돌입
- GC녹십자, KCGS ESG평가서 '종합 A등급'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