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병원 안정민 교수 1010명 환자 분석
"아스피린 중단해도 합병증 위험 증가 안해"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후 아스피린을 복용 중인 환자가 심장이 아닌 다른 부위 수술을 받을 때 아스피린을 중단하더라도 주요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국내 다기관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안정민 교수가 2017~2024년 전국 30개 의료기관에서 1010명의 환자를 무작위 배정해 분석한 결과, 수술 30일 이내 사망·심근경색·스텐트 혈전증·뇌졸중 발생률은 아스피린 유지군 0.6%, 중단군 0.9%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 교수에 따르면 심장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허혈성 심장질환은 국내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스텐트를 삽입해 혈관을 개통하고 이중항혈소판제를 복용하는 것이 주 치료다. 

이 중 약 20% 환자는 스텐트 삽입 2년 이내 복부‧정형외과‧내시경‧안과‧치과 등 다른 부위의 수술을 받으며, 수술 전 아스피린을 중단해야 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 왔다. 약을 중단하면 혈전 위험이, 반대로 유지하면 수술 중 출혈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상반된 우려 때문이다.

국내외 임상진료지침은 출혈 위험이 아주 크지 않다면 아스피린 유지를 권고하는 반면, 실제 현장에서는 수술 전 아스피린 중단이 전제되는 경우가 많아 혼선이 있어 왔다. 

이번 연구는 스텐트 삽입 12개월 후 다른 수술을 받고자 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아스피린 유지와 중단에 따른 주요 합병증 발생 빈도를 비교한 것으로 두 방법 모두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선택지임을 확인했다. 다만, 아스피린을 계속 복용한 환자에서 경미한 출혈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진료현장에서는 다양한 상황에서 혈전을 예방하기 위해 항혈소판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이러한 환자에서 수술이 필요한 경우, 아스피린과 같은 약제의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양질의 근거를 생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아울러, 둘 이상의 선택지가 존재해 불확실성이 큰 의료상황에서는 의료진과 환자가 근거와 선호를 함께 고려해 치료 방침을 정하는 ‘공유의사결정(Shared Decision Making)’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한편 이 같은 내용은 환자중심의료기술최적화연구사업단(PACEN)이 지원한 ‘관상동맥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에서 비심장성 수술 전후의 항혈소판제 투약 유지 및 중단에 대한 비교평가 연구(연구책임자: 서울아산병원 안정민 교수)'를 바탕으로, PACEN 임상적 가치평가(Appraisal)를 통해 도출된 결과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