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벤처에 4조4000억...디지털·AI전환에 3조8000억 편성 예정

중소벤처기업부가 창업 및 벤처 4대 강국 도약을 위해 약 4조4000억원의 예산을 편성할 예정이다. 디지털·AI 전환 및 ‘진짜 성장’을 위한 지원 예산은 3조 7464억원으로 추산했다.

중기부(장관 한성숙)는 2026년도 예산안을 전년 본예산 15조 2488억원보다 1조 5961억원 늘어난 16조 8449억원으로 편성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10.5% 증가한 규모로, 오는 3일 국회에 제출 계획이다.

중기부에 따르면 이번 예산안은 정부의 나라재정절약간담회 지적사항을 반영해 내역사업을 약 20개 줄이고, 국민이 이해하기 쉽게 구조를 재편했다. 동시에 융자사업 예산(1.4조원)과 관행적 경상비, 일몰이 도래한 R&D 사업 등을 조정해 재원을 마련하고, 신성장 분야에 재투자했다는 설명이다.

창업·벤처 4대 강국 도약… 모태펀드 1조1000억원 확대

‘창업 및 벤처 4대 강국 도약’을 위한 혁신 선도 예산은 4조 3886억원으로, 전년 대비 23.3%(8301억원) 증액됐다.

모태펀드는 역대 최대 규모인 1.1조원으로 확대되며, 이 가운데 절반은 AI·딥테크 분야에 투입된다. 재도전 펀드, 세컨더리·M&A 펀드 조성도 강화한다.

또한 팁스(TIPS) 기반 R&D를 창업→성장→글로벌 단계로 확대하고, ‘유니콘 브릿지’ 사업(320억원, 50개사 지원),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746개사 지원) 등이 추진된다.

디지털·AI 전환에 3조7000억원… 스마트공장·K-뷰티 클러스터 포함

디지털·AI 전환 및 ‘진짜 성장’을 위한 지원 예산은 3조 7464억원으로 전년보다 16.3% 늘었다. 중기부 R&D 예산은 2조 1955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AI팩토리 구축과 'AI 응용제품 신속 상용화 사업(990억원)'도 신규 반영됐다.

이와 함께 △K-뷰티 클러스터 육성(30억원), △수출바우처(1,502억원), △수출컨소시엄(178억원) 등 수출 지원책도 강화된다.

소상공인 지원 5조5000억원… 경영안정·AI 도우미 도입

소상공인 지원 예산은 5조 5278억원으로 전년 대비 2.5%(1356억원) 증가했다.

주요 사업은 △소상공인 경영안정바우처(5,790억원), △정책자금 3조 3,620억원, △희망리턴패키지(3,056억원) 등이 포함된다. 점포철거비 지원 한도는 최대 600만원으로 확대된다.

또한 ‘소상공인 AI 도우미’(50억원) 사업을 신설해 상담서비스 DB와 AI 학습을 통해 상시 지원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지역 기업생태계 활성화… 지역창업 페스티벌 신설

지역 기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예산은 1조 3175억원으로, 전년보다 4.3%(547억원) 증가했다. 중소기업혁신바우처(652억원), 지역창업 페스티벌(36억원), 글로벌혁신특구 육성(177억원) 등이 포함됐다. 지역산업 전용 R&D 예산은 969억원으로 대폭 증액됐다(+349.6%).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을 위한 예산은 5725억원으로 전년 대비 0.5% 늘었다. 기술보호 예산은 51억원으로 확대되고(+46.9%), 중소기업 승계 활성화를 위한 ‘기업승계 M&A 지원’(8.5억원)이 신설됐다.

한성숙 장관은 "이번 예산안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어려운 경제 상황을 극복하고 진짜 성장할 수 있도록 마련했다"며 "정부가 고민해 편성한 예산안이 국회에서 충실히 심의·통과돼 재정정책의 온기가 현장에 빠르게 전달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