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임상부터 IND까지 정부 지원…화순 생산설비 기반 자체 플랫폼 구축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질병관리청이 추진하는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에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산 mRNA 백신 플랫폼 확보를 목표로 비임상부터 품목허가까지 전 주기 연구개발을 정부가 지원하는 형태다.

질병청은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총 5052억원을 투입해 mRNA 백신의 연구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며, 올해는 사업의 초기 단계로 선정 기업의 비임상 연구를 중점 지원한다. GC녹십자는 동물 대상 비임상시험과 임상 1상 진입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올해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GC녹십자는 2019년부터 mRNA 및 지질나노입자(LNP, Lipid Nanoparticle)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전담 연구팀을 통해 플랫폼 기반을 확보한 상태다. 회사는 해당 기술을 활용해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갖춘 코로나19 mRNA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생산 역량 측면에서도 GC녹십자는 2023년 전라남도 화순 백신 공장 내에 mRNA-LNP 제조소를 구축해 mRNA 백신 개발 전 공정을 자체 수행할 수 있는 생산체계를 마련한 상태라고 강조했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 백신 개발 및 국산화 경험을 바탕으로 mRNA 백신 개발을 본격화하겠다"며 "자체 백신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차세대 mRNA 백신 연구의 가능성을 넓힐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