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개 동의 43개사 현황...매출 13조1856억 전망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혁신형 제약기업 47개사 중 정보 공개에 동의한 43개사의 올해 신약 연구개발(R&D에 1조7617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조4315억 원과 비교해 약 23.1% 증가한 금액이다.
이러한 지원을 받은 혁신형 제약기업의 올해 매출액 목표는 13조1856억 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12조1033억 원 대비 약 8.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 같은 전망은 ‘2019년도 혁신형 제약기업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앞두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47개 혁신형 제약기업 중 43개 기업의 2019년도 사업계획 등을 분석한 결과다.
혁신형 제약기업 중 43개사의 2019년도 사업계획 중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개발(R&D)= CJ헬스케어는 ‘18년 개발한 케이캡 적응증 추가 임상3상, SK케미칼은 리넥신정(만성동맥폐색증 치료제) 임상 3상, 유한양행은 레이저티닙 글로벌 임상 3상 등 혁신?바이오신약, 개량신약, 바이오시밀러 등을 개발하기 위한 비임상?임상(1~3상) 등에 연구개발비를 집중 투자
해외진출=새로운 해외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미국, 유럽, 아시아, 중남미 등 현지법인 설립 및 지원 확대, 다국적 제약사와 협력 강화, 해외 기술수출 제고 등을 추진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혁신형 제약기업 CEO들은 “제약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국가 R&D 지원 및 해외 임상시험에 대한 세제 지원 확대,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신속한 임상시험 승인과 신약 품목 허가 등을 요청”했다.
이와 관련해 보건복지부 강도태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제약산업을 혁신성장 선도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국가 R&D 지원 및 해외 임상 세액공제 등을 확대하고, 신약 임상시험 및 품목허가 신속 심사제 도입 등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혁신형 제약기업의 건의사항 중 “올해 중에 추진 가능한 사안은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오는 3월에 발표 예정인 ?2019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에 포함하여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