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병환우회 , 골수검사 경험 환자 실태조사 실시

한국백혈병환우회(이하 백혈병환우회)는 지난 10월 24일부터 31일까지 8일 동안 회원 중 골수검사 경험이 있는 백혈병·혈액암 환자 대상으로 진단 및 치료경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는 골수검사 관련 실태조사와 환자의 경험을 알아보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한 환자는 총 355명으로 질환 유형은 급성골수성백혈병이 161명(45.4%)으로 가장 많았고,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은 88명(24.8%), 만성골수성백혈병은 48명(13.5%) 등이 참여했다. 백혈병 환자의 참여가 321명(90.4%)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설문조사의 핵심 내용인 골수검사란 혈액 또는 종양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경과를 확인하기 위해 골수가 들어 있는 골반 뼈를 굵고 긴 바늘로 찔러 골수조직을 채취하는 침습적 골막천자(이하, 골수검사)를 말한다. 검사 및 치료경과를 확인하기 위한 골수검사를 받은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1명(0.3%)를 제외하고 354명(99.7%)이 있다고 답변했다.

골수검사를 받은 경험이 있는 354명 중 골수검사를 한 번 만에 성공하지 못하고 여러 번 받은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한 번 만에 성공했다는 답변은 219명(61.9%)이었고, 여러 번 받았다는 답변은 135명(38.1%)이었다. 

이는 골수검사를 받은 백혈병·혈액암 환자 10명 중 4명은 한번 만에 성공하지 못하고 골수검사를 여러 번 받은 고통과 불편을 겪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골수검사를 한 번에 성공하지 못해 여러 번 받았다고 답변한 135명 중 골수검사를 받을 당시 몇 번 만에 성공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두 번째에 성공한 경우가 68명(50.4%)으로 절반에 해당했고, 세번째가 37명(27.4%), 네번째~다섯번째가 24명(17.8%), 기타(6회 또는 7회, 2시간 정도 10번 넘게 한 적 있다, 8회 후 실패, 7회 등) 6명(4.4%)으로 세 번째 이상에서 성공한 경우가 67명(49.6%)였다. 

부분 마취를 시행한다고 하지만 통증이 심한 대표적 침습적 검사행위인 골수검사로 인해 백혈병·혈액암 환자들이 불필요한 고통과 피해를 보고 있다는 사실을 방증하고 있다.

또한 골수검사를 여러 번 받았다고 답변한 135명 대상으로 다른 의료인으로 교체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물었고 교체 경험이 있다는 답변이 68명(50.4%), 교체하지 않고 동일한 의료인이 했다는 답변이 67명(49.6%)이었다. 

백혈병환우회는 "골수검사가 통증이 심하고 환자안전사고 우려도 있는 대표적인 침습적 검사행위이므로 1회 실패 시 숙련된 고학년 레지던트나 전문의로 교체돼야 하지만 38명(55.9%)이 2회 이상 실패한 후 교체됐고, 8명이 3회 실패 후, 7명이 4~5회 실패 후 교체된 점을 고려하면 이는 환자안전을 넘어 환자의 진료받을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최근 법원이 2심에서 '의사가 현장에서 지도·감독하더라도 전문간호사가 골수검사를 직접 한 이상 진료보조가 아닌 진료행위로 봐야 한다'면서 서울아산병원에 유죄를 선고한 것에 대한 설문도 진행했다. 

골수검사를 의사만이 할 수 있는 절대적 의료행위라고 생각하는지 의사가 지도·감독하면 전문간호사도 할 수 있는 진료보조행위라고 생각하는지 질문에 절대적 의료행위라고 응답한 환자는 354명 중 214명(60.5%)이었고 진료보조행위라고 생각한 환자는 120명(33.9%)이었다. 

골수검사 관련 교육과 수련을 받고, 의사의 지도·감독을 받으면 전문간호사도 골수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찬성하는지 질문에 175명(49.4%)은 찬성, 139명(39.3%)은 반대로 나왔다.

백혈병 환우회는 "골수천자, 요추천자, 복수천자 등 환자에게 통증이 심하고 침습적 검사행위는 환자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크기 때문에 숙련도가 부족한 전공의로부터 수련과정에서 환자가 고통과 피해를 보지 않도록 수련병원에서는 수련의 대상인 환자의 안전과 인권을 보장하는 가이드라인과 매뉴얼을 만들어 운영해야 한다"며 "정부는 전공의 수련병원 지정요건에 이러한 내용이 포함되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