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비엠아이, 알엔에이진, 마이크로유니, 메디치바이오 등도 참여
"국산 기술 코로나 예방백신 개발 착수"

아이진(대표 최석근)은 차세대 코로나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해당 계약에 참여한 기업은 아이진을 비롯해 한국비엠아이, 알엔에이진, 마이크로유니, 메디치바이오 5개 기업이다. 이들은 지난 10월 17일 mRNA 백신 공동연구개발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해 MOU를 체결한 바 있다.

이들 5개사는 각자가 보유하고 있는 기술과 정보를 바탕으로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차세대 mRNA 코로나 예방백신을 비롯한 mRNA 백신 전 분야에 걸쳐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알엔에이진은 수지상세포를 자극해 T 세포 반응을 강화시킨 mRNA 항원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동 연구개발에서도 항원 설계와 후보물질 확립을 주도할 예정이다.

마이크로유니는 캡(Cap)이 필요 없는 자가증폭 RNA(Capless Self-amplifying RNA)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해당 기술은 mRNA 백신 원부자재 단가에서 높은 원가 비중을 차지하는 캡Cap)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자가증폭 효과로 인해 기존 백신 대비 mRNA 항원량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또 회사 측에 따르면 메디치바이오의 자체 LNP(지질나노입자) 기술은 mRNA 백신 개발의 난관으로 여겨지는 LNP 특허 침해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다. 특히 메디치바이오의 LNP는 접종 부위에 국소적으로 분포, 발현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기존 LNP를 사용한 mRNA 기반 백신에 비해 안전성 개선이 기대된다.

아이진은 코로나 19 팬데믹 초기부터 mRNA 기반 코로나 백신을 연구해 왔으며, 국내와 해외에서 임상을 수행했다. 공동 연구 개발에서는 기초 CMC 확립을 비롯해 비임상단계의 독성 및 효능시험, 단계별 생산 스케일업 연구를 주도하고 임상 연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한국비엠아이는 임상 및 상업용 mRNA의 생산이 가능한 GMP 생산 시설을 구축했다. 이번 협력에 따라 비임상 및 임상 전주기에 걸쳐 시제품 및 임상용 의약품 생산과 의약품 허가 후 상업용 대량 생산을 담당할 예정이다. 또 한국비엠아이는 바이오 전문 의약품의 허가. 승인 및 사업화 실적이 있어, 임상시험의 주관 및 인허가, 등록업무를 진행할 계획이다.

최석근 아이진 대표는 "이번 5개 바이오 기업 간에 체결된 공동 연구개발 계획은 생산원가를 최소화하면서도 기존 특허기술 침해 소지가 없는 순수 국산 기술로 이루어진 mRNA 기반 백신의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참여 기업 간 협업을 극대화하여 COVID-19는 물론, 이후 등장할 수도 있는 감염병의 대유행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mRNA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