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6주~만17세 약 8000명 대상

SK바이오사이언스는 사노피와 공동 개발중인 21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후보물질 'GBP410’의 임상 3상 시험 계획(IND)을 28일 국내 식약처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한국을 포함해 진행될 다국가 임상 3상은 생후 6주 이상부터 만 17세까지의 영유아, 어린이 및 청소년 8000명을 대상으로 GBP410의 최대 4회 접종(기초접종 3회 및 추가접종 1회) 후 기 허가 폐렴구균 백신과 면역원성 및 안전성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GBP410은 폐렴 및 침습성 질환을 일으키는 폐렴구균 피막 다당체에 특정 단백질을 접합해 만든 단백접합 백신 후보물질로 T세포 면역반응에 따른 면역원성을 높여 지금까지 개발된 폐렴구균 백신 중에서도 예방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GBP410은 현재 글로벌에서 허가된 소아용 백신 중 가장 많은 21종류의 혈청형을 포함하고 있어 상용화될 경우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IPD)에 대해 20가 백신 대비 5~7% 더 넓은 예방 범위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 SK바이오사이언스의 설명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 사노피는 지난해 6월 GBP410의 긍정적인 임상 2상 결과를 확보한 바 있다. 임상 2상에선 생후 12~15개월 소아 140명과 42~89일 영유아 712명을 대상으로 GBP410과 대조백신을 기초 접종 및 추가 접종한 비교임상 결과 대조백신과 GBP410의 면역원성이 동등한 수준임을 확인했다.
안전성 측면에서도 GBP410 접종군은 백신과 관련 있는 중대한 이상사례가 보고되지 않았다. 또 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폴리오,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백신 등 영유아 및 소아 접종 권고 백신을 병용 투약하는 경우에도 대조백신 대비 동등한 수준의 면역원성 및 안전성을 확인했다.
한편 회사는 이와 함께 GBP410의 상용화에 대비해 지난 3월 경북 안동에 위치한 백신 공장 'L하우스’의 증축 공사도 시작했다. 이와 함께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미국의 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 기준인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도 빠르게 확보할 예정이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이미 글로벌에서 IND 승인 절차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도 빠르게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세계를 공략할 백신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상용화에 성공함으로써 백신 주권 확보 및 대한민국 국민들의 보건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바이오사이언스, 3분기 영업손실 396억…적자 전환
- SK바사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 인도네시아서 품목허가"
- "국가예방접종 백신 자급율 28.6% 불과...5년간 12차례 수급문제"
- SK바사, 미국 접합백신 기술 보유 Fina에 300만불 투자
- SK바사, IDT 바이오로지카 인수 완료…"5년 내 매출 1조 목표"
- SK바사, 과기부 장관상 수상…'LMO 안전관리' 우수기관 선정
- SK바이오사이언스, '생물보안 유공' 산업부 장관상 수상
- SK바이오사이언스, 건강친화기업 인증·복지부 장관상 수상
- 식약처, 백신 면역원성 평가 시험법 워크숍 개최
- SK바이오사이언스, 일본뇌염 백신 'GBP560' 호주 1·2상 승인
- SK바이오사이언스, MSCI ESG 평가 2년 연속 'A'
- '넥스트 21가' 노린다, SK바사-사노피 페렴구균백신 공동개발 계약
- SK바이오사이언스, 21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 미 3상 승인받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