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조1871억원, 영업이익 3386억원
공장 3개 최대 가동 및 4공장 램프업 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 /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 /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림)는 23일 공시를 통해 2024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1871억원, 영업이익 338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같은 기간과 대비 매출은 15%, 영업이익은 6% 늘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3공장 풀가동 지속 및 4공장 램프업(Ramp-up) 순항에 따라 분기당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별도기준 매출은 1조671억원, 영업이익 444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과 비교해 매출은 21%, 영업이익은 17% 각각 증가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매출 3303억원, 영업이익은 679억원을 기록했다는데 마일스톤 없이 바이오시밀러 제품 판매를 확대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날 올해 연결기준 연간 매출 성장 전망치를 직전 10~15%에서 15~20%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4공장의 성공적인 램프업 및 우호적 환율 환경 지속에 따른 영향으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중 처음으로 연매출 4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글로벌 상위 20곳 제약사 중 총 17곳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2011년 창사 이래 누적 수주 총액 154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성장성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회사는 이에 대비하기 위해 18만L 규모의 5공장을 내년 4월 가동 목표로 건설 중이다. 품질 측면에서는 글로벌 규제기관 제조 승인을 9월 기준 326건 획득하고 지난해 99%의 배치(Batch) 성공률하기도 했다. 위탁개발(CDO) 부분은 올해에만 4개의 신규 기술 플랫폼 및 맞춤형 서비스 패키지를 출시했다.

또 ADC 전용 생산시설을 연내 완공해 기술 보유 기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한다는 전략이다. 지난 7월 삼성 라이프 사이언스 2호 펀드를 통해 AI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는 플래그십 파이어니어링(Flagship Pioneering) 8호 펀드에도 투자를 결정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현재 국내에서 9종, 유럽과 미국에서 각각 8종의 바이오시밀러 품목 허가를 받았는데 지난 7월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SB17’를 유럽에서는 커머셜 파트너사 산도스를 통해, 국내에서는 별도의 파트너사 없이 직접 판매 체제를 통해 출시했다.

지난 9월에는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 자문위원회(CHMP)로부터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SB15)의 품목허가 긍정의견을 받아 연내 유럽에서의 안과질환 치료제 후속 승인 가능성을 높였다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