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제니오, 급여 설정 재도전 위해 추가 제출 자료 준비
상반기 암질심 조기 유방암 급여 적용·확대 0건

재발성/전이성 암 치료제보다 조기 유방암 치료제의 급여 적용과 급여기준 확대가 어렵다는 제약업계의 지적이 나왔다. 업계는 환자들이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접근성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 릴리는 '버제니오(성분 아베마시클립)'의 중증(암)질환심의위원회 재도전을 위해 추가적인 자료를 보완하고 있다.
버제니오는 HR+/HER2- 재발 고위험 조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monarchE' 임상 연구에서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내분비요법과 2년간 병용했을 때 대조군 대비 5년 시점의 침습성 무질병 생존율(IDFS)의 절대값 차이가 7.9%로 지속 증가해 재발 및 사망 위험이 약 33.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5월과 올해 3월 암질심에 상정됐지만, 두 번 모두 급여기준이 미설정됐다. 한국 릴리 관계자는 "구체적인 시점은 공유하지 못하지만, 급여 재신청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30여개 국가에서 급여가 적용되고 있는 만큼 국내 조기 유방암 환자들의 접근성이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버제니오뿐만 아니라 조기 유방암 치료제 전반의 문제라는 의견이 나온다. 상반기에 진행된 암질심에서 △키트루다(MSD) △아리미덱스(아스트라제네카) △페마라(노바티스) 등 조기 유방암 치료제의 급여 기준 설정·확대는 0건으로 나타났다.
이에 업계와 의료진들은 재발성/전이성 암 치료제에 급여가 적용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재발을 예방할 방안이 필요하다며 조기 암 치료제의 급여 기준 개선을 촉구했다.
김지연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국내 유방암은 서양 국가에 비해 발병 연령이 낮다. 이런 환자들이 재발이나 전이를 겪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은 사회경제적으로도 가치 있는 일"이라며 "재발 고위험군 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통해 재발을 관리할 수 있도록 치료제의 접근성 개선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심평원 관계자는 "조기 유방암 재발 예방에 처방·투여되는 약제는 향후 임상적 효과 불확실성 관련 추가 소명자료 제출 시 관련 절차에 따라 급여기준 개선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