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셀플루 약 44만 도즈, 파트너사 '바이오젠텍' 공급

SK바이오사이언스 스카이셀플루 수출용 제품 /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SK바이오사이언스 스카이셀플루 수출용 제품 /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SK바이오사이언스(대표 안재용)는 자체 개발한 세포배양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를 태국에 공급함에 따라 동남아 시장 확대 및 남반구 진출 신호탄을 올리게 됐다.

회사는 태국 파트너사인 '바이오젠텍(Biogenetech)'에 공급하기 위해 스카이셀플루 약 44만도즈를 안동 L하우스에서 출하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공급하는 백신은 WHO(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2024시즌 남반구 유행 예상 독감 균주다. 

회사 관계자는 "스카이셀플루의 남반구 향(向) 수출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동남아 시장을 비롯 본격적으로 남반구 시장 판매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태국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 지형으로 WHO의 남/북반구 독감백신 접종 지침의 영향을 동시에 받아 상반기부터 하반기까지 백신 공급의 연속성이 필요하다"면서 "태국 질병통제국은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독감이 기승을 부리자 최근 31개 주요 관광 지역의 관련 업무 종사자를 대상으로 대대적인 예방접종에 나설 정도로 독감 예방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지속적인 시장 확대도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회사는 이번 수출이 태국 독감백신 시장에서 스카이셀플루의 점진적인 점유율을 상승시키는것과 함께 향후 UNICEF(국제아동기금), PAHO(범미보건기구)와 같은 국제기구의 조달시장 및 개별 국가 진출 시 긍정적인 사례로 작용하고, 글로벌 시장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스카이셀플루는 말레이시아, 태국, 싱가포르, 몽골, 파키스탄, 칠레 등 12개 국가에서 품목 허가를 받았으며, 그 외 10개국에서 추가 허가를 진행중이거나 예정이다.

이 관계자는 "무엇보다 이번 수출은 스카이셀플루의 남반구 향 최초 수출이라는 점이 눈에 띄는 대목"이라며 "WHO는 매년 남/북반구 각 1회씩 두 차례 해당 시즌 유행 독감 균주를 예측해 발표하는데, 남반구에서 변동 사항이 없을 시 북반구도 동일 균주로 생산이 가능하다. 이 경우 공급시기 단축으로 이어질 수 있고 생산 시설 연속 가동에 따른 제조원가 절감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즉, 시장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남·북반구 모든 시장 진출은 중요한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그랜드 뷰 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세계 독감 백신 시장 규모는 연평균 6.98%의 성장률로 2030년 약 125억 8000만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뷰 리서치는 이를 다양한 국가에서 독감백신 무료 접종이 시행되고 백신에 대한 인식 제고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 힘입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자체 개발 백신들의 글로벌 규제 기관 및 개별 국가의 인허가를 확대하며 신규 판로를 개척하고 있다. 회사는 최근 장티푸스 접합백신 '스카이타이포이드'의 사전 적격성 평가(Pre-QualificationㆍPQ)인증을 확보했고, 수두 백신 '스카이바리셀라'는 멕시코 허가당국의 품목 허가를 획득한 바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 안재용 사장은 "스카이셀플루의 이번 태국 수출은 동남아 및 남반구 시장 진출을 넘어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발판"이라며 "올해 임상 3상 진입을 앞둔 차세대 폐렴구균 백신 같은 블록버스터급 신규 백신 개발뿐만 아니라 중단기 실적 개선을 위한 기존 제품들의 시장 다변화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회사는 백신의 글로벌 안정 공급을 위해 거점형 백신 허브 구축 프로젝트인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지난해 7월 태국 정부 산하 국영 제약사 ‘GPO(Government Pharmaceutical Organization)’와 업무 협약(MOU)을 맺고 스카이셀플루의 완제 생산 기술을 현지 공장에 이전해 상업화하는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다. 또 아프리카, 동남아, 중동, 중남미, 동유럽 등 다수의 국가와 R&D 및 생산 인프라 구축, 기술 이전 등 다양한 형태의 협력 방안을 논의 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