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박사급 인재만 390명 이상...제제부터 임상개발까지

한미그룹은 22일 현재, 그룹사 R&D 인력이 박사 84명, 석사 312명을 포함해 600여명에 달하는 등 전체 임직원 중 28% 이상이 근무, 업계 최대 규모라고 밝혔다. 임직원 중 의사, 수의사, 약사는 모두 76명으로 대부분 R&D 업무에 종사하고 있다.

연구 인재는 국내 5개 R&D 부서인 서울 본사 임상개발 파트는 물론, 팔탄 제제연구소와 동탄 R&D센터, 평택 바이오제조개발팀, 시흥 한미정밀화학 R&D센터 등에 포진해 의약품 제제연구와 신약개발 분애에 근무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 R&D센터에서도 북경대, 칭화대 등 중국 최고 수준 대학 출신 연구원 180여명이 신약개발 업무 등을 맡고 있다. 

한미그룹은 작년 11월 혁신신약 개발의 요람인 동탄 R&D센터 조직을 기존의 ‘바이오’와 ‘합성’으로 나누는 방식에서 벗어나 ‘질환(비만/대사, 면역/표적항암, 희귀질환)’ 중심으로 세분화하는 대규모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임주현 사장과 최인영 R&D센터장의 리더십을 기반으로 이뤄진 조직 개편의 방향은 기술 융합과 연구원들 간 소통 및 협력을 극대화해 혁신 창출에 속도를 내기 위해서다.

그룹 내 재무 여건으로 매출 대비 20%씩 R&D에 투자하던 기조가 13%대까지 줄어들기도 했지만 R&D를 회사의 핵심 가치로 두는 경영 철학에 따라 신약 연구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는 것이 한미약품의 설명이다. 

이 중 한국인 맞춤형 GLP-1 비만 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는 작년 10월 식약처의 임상 3상 승인 후 2개월여 만에 첫 환자 등록까지 이뤄지는 등 속도감 있는 연구개발이 진행중이다.

한미그룹은 이 외에도 MASH(대사질환 관련 지방간염, 구 NASH) 치료제로 개발중인 에피노페그듀타이드는 미국 MSD가 글로벌 2b상을 순조롭게 진행하고 있으며 같은 적응증으로 개발한 에포시페그트루타이드 역시 글로벌 임상 2상에 진입하며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인영 센터장은 "임성기 창업 회장이 숙제로 남기고 떠난 한미의 R&D 열정은 그 어느 때보다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며 "지난 기간 축적해 온 기술에 더해 세포 유전자, 표적 단백질 분해, mRNA, 항체-약물 중합체 등 신규 모달리티 발굴에도 온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최 센터장은 "OCI그룹과의 통합은 흔들림 없는 신약개발 기조를 더욱 굳건히 하는계기가 될 것"이라며 "글로벌 혁신신약을 창출하고, 이를 통해 제약강국이라는 한미의 비전을 반드시 달성할 수 있도록 회사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