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엽줄기세포 면역질환 조절 기전서 Ahr 관여 결과 발표

에스씨엠생명과학(SCM생명과학ㆍ대표 손관)은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과제를 수행 중인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전명신 교수팀의 공동연구가 국제학술지 'Cell Death & Disease' 최신호(2023년 12월 온라인)에 발표됐다고 15일 밝혔다.

논문 제목은 'The aryl hydrocarbon receptor controls mesenchymal stromal cell-mediated immunomodulation via ubiquitination of eukaryotic elongation factor-2 kinase(중간엽줄기세포의 면역조절 기능이 아릴탄화수소수용체에 의한 eEF2K 유비퀴틴에 의해 일어난다)'이다.

Ahr은 전사인자로 다이옥신 같은 환경호르몬과 결합해 세포 독성에 관여하는 물질로 알려졌다. 10여 년 전부터 브로콜리 같은 채소 내 물질 또는 장내 미생물의 분비물 등과 결합해 T세포 같은 면역세포를 조절해 장 건강 및 피부 염증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최근 Ahr의 새로운 리간드를 활용해 염증을 조절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줄기세포, 특히 중간엽줄기세포(MSC)에서의 Ahr 역할은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회사는 이번 공동연구에서 Ahr결핍 MSC를 이식편대숙주질환 마우스 모델에 주입한 결과 그 치료 효능이 정상의 MSC에 비해 적게 나타난다는 것을 밝혔고, 그 기전으로 Ahr이 eEF2K라는 단백질의 유비퀴틴 조절을 통해 중간엽줄기세포의 면역조절 기능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사람의 중간엽줄기세포(MSC) 경우 인돌아민-2,3-디옥시겐나제(IDO, Indoleamine 2,3-dioxygenase)라는 효소가 트립토판을 Ahr의 리간드의 일종인 키뉴레닌(Kynerenine)이란 대사체로 변형시켜 면역세포 활성 억제에 관여한다고 알려졌다. 이 때문에 사람 중간엽줄기세포(MSC)에서도 Ahr이 면역세포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체는 유전적으로 Ahr 반응군과 비반응군이 존재하는데, Ahr의 역할 규명에 따라 도너 선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에스씨엠생명과학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현재 개발 중인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치료 효과에 대한 기전을 제시할 수 있다"며 "면역질환 분야 치료제 개발 부분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한편 회사에서 개발 중인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 경우 2상 환자모집을 완료하여, 2024년 하반기 임상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