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AZ, 식약처와 환자 보호방안 논의 중
"급여 기준 확대 및 상한금액 인하 취소 소송 결정 따를 것 "
한국아스트라제네카가 SGLT2 억제제 '포시가(성분 다파글리플로진)'에 대해 내년 상반기 국내 공급을 중단한다고 11일 밝혔다.
<히트뉴스>는 이날 포시가의 한국 철수 관련 기사를 단독으로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한국아스트라제네카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부터 포시가의 국내 공급을 중단한다"며 "상반기까지 현장에서 처방될 제품의 재고는 모두 확보된 상태로, 환자 보호 방안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포트폴리오 전략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해 내린 결정으로, 앞으로 혁신적인 의약품 개발 및 공급에 집중하겠다"며 "환자와 의료진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포시가의 경우 심혈관계대사 사업부에 속해 있으며, 매출이 적지 않은 만큼 제품 철수와 함께 희망퇴직(ERP)이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측은 "해당 제품만 철회한다는 것이고, 사업부 자체를 없애는 것은 아니다"라며 "ERP에 대해서 논의 중인 것은 맞지만,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는 없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포시가에 대한 만성심부전과 신부전 적응증에 급여 기준 확대를 신청한 상황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더불어 포시가를 둘러싼 소송도 있는데, 보건복지부와는 상한금액 인하 고시 취소 소송도 정리가 돼야 한다.
매출 500억원 규모의 포시가가 매출에서 제외되는 만큼 국내사와 코프로모션 중인 품목을 살펴볼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HK이노엔과는 복합제 '시다프비아(성분 다파글리플로진+시타글립틴)'를 판매하고 있으며, 일동제약에서는 '큐턴(성분 다파글리플로진+삭사글립틴)'을 판매 중으로 해당 복합제들은 기존처럼 유지된다.
반면 포시가와 관련한 대웅제약과 코프로모션은 종료된다. 이와 함께 대웅제약은 아스트라제네카의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크레스토'의 국내 판권을 가지고 있는데, 크레스토를 회수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하지만 아스트라제네카 측은 "크레스토는 기존대로 대웅과 협업을 이어나간다"며 "아직 공식적으로 확정 및 변경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한편 포시가 처방 시장을 노리는 국내 제약사들의 움직임은 바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당뇨병 치료와 만성심부전ㆍ신장병 적응증을 모두 가진 베링거인겔하임의 '자디앙(성분 엠파글리플로진)'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국내 제네릭사들도 당뇨약 경쟁에 가담하지 않겠냐는 예상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만성심부전 관련 특허가 2040년까지지만, 제네릭사 입장에서는 제품이 없을 경우 해당 적응증을 획득할 가능성도 따져볼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원가가 높기 때문에 자사 제조 또는 수탁사들이 경쟁에 더 적극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단독 | 약가소송+ 제네릭공세... 이중고 겪는 '포시가' 한국 철수하나
- 대웅·녹십자 협력작품 '엔블로'… "적응증 확장·글로벌 공략 가속화"
- 자디앙, 심장·신장통합 관리 약제로...포시가와 적응증 동일
- 포시가 제네릭 경쟁 3개월, 빼앗은 오리지널 영토는 10% 남짓
- SK, 지아이셀 투자설부터 포시가 철수까지… 연말 '빅이슈 팡팡'
- 이름만 들어도 '딱' 아는 대형 품목, HK이노엔 품에 안길까?
- 500억 당뇨 치료제 '포시가' 한국 철수 기점 '국내 제약들 아귀다툼'
- 매서운 겨울 다국적사는 더 춥다… 인력 감축 칼바람
- 불과 며칠 사이에 한달 치가 '쑥'… "정상 공급? 못믿는다" 왜?
- 단독 | 대웅제약, '포시가' 판매 중단… 남은 물량 HK이노엔이 유통
- 국내 철수 포시가, 만성심부전 급여확대… "제네릭은 안돼"
- 다파글리플로진 후발약 22% 점유… 수탁사 경동제약 '웃었다'
- 시타글립틴 공급문제 해결, 1년만에 재점화된 처방경쟁
- DPP-4·SGLT-2i 당뇨 복합제 급성장… 베링거 '에스글리토' 선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