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 국제심포지엄 참석해 'LAPSGlucagon analog' 발표

한미약품은 지난달 22일부터 24일까지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국제 재단(Congenital Hyperinsulinism International, CHI) 주최 심포지엄에 참가해 해당 질환 혁신신약으로 개발중인 'LAPSGlucagon analog'(개발명 HM15136)를 소개하고 세계적 석학들과 개발 방향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했다고 6일 밝혔다. 

CHI는 선천성 고인슐린혈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2005년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매년 정기적 환우 가족모임을 열어 의사·연구자 등 전문가들의 최신 치료법, 임상 현황 등을 공유하고 관련 네트워크를 쌓고 있다.

한미약품이 개발중인 HM15136는 세계 첫 주 1회 투여 제형으로 글로벌 임상 2상이 진행 중이다. 회사는 HM15136에 바이오 의약품의 약효와 투여 주기를 늘려주는 독자 플랫폼 기술인 '랩스커버리'를 적용해가 체내 포도당 합성을 촉진하는 글루카곤의 짧은 반감기를 개선했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CHI 환우회에 참석한 이 분야 세계적 키 오피니언 리더(Key Opinion Leader)들도 HM15136의 잠재력과 혁신성을 높이 평가했다.

영국 로열 맨체스터 어린이병원 인디 배너지(Indi Banerjee) 교수는 "HM15136은 인퓨전 펌프(infusion pump)로 투여하는 경쟁 약물 대비 투약 편의성 측면에서 확실한 강점을 갖고 있다"며 "투여받은 환자도 특별한 이상반응 없이 좋은 약효를 보여 환자와 가족들이 큰 만족감을 나타냈다"고 말했다.

독일 오토 폰 귀릭케 마그데부르크대학교의 클라우스 모니키(Klaus Mohnike) 교수는 "HM15136을 투여받은 환자는 특별한 부작용 없이 안정적 효과를 보였다"며 "현재 표준 치료제가 있긴 하지만 여러가지 부작용이 있으며 약효가 떨어지는 환자들이 있어 HM15136은 혁신적 신약으로서의 가능성이 충분해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회사는 선천성 고인슐린혈증을 앓고 있는 소아 및 청소년 환자와 가족들이 고충과 애환을 참석자들과 공유하기도 했다고 한미약품은 전했다.

행사에 참여한 한미약품 노영수 신약임상(CS) 팀장은 "선천성 고인슐린혈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대면하고 대화를 나누면서 그들이 겪는 삶의 고통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었다"며 "한미약품이 개발중인 HM15136이 하루빨리 상용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희귀질환 영역은 한미약품의 경영이념인 인간존중과 가치창조를 실천할 수 있는 분야로, 인류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존재하는 제약기업으로서 반드시 돌봐야 하는 질환"이라며 "희귀질환으로 고통받는 전 세계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혁신 신약을 꼭 개발할 수 있도록 한미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선천성 고인슐린혈증은 2만5000~5만명당 1명 꼴로 발병하는 희귀질환으로 현재까지 승인된 치료제(1건)가 있긴 하지만 치료 반응률이 낮아 환자들은 허가 이외의 의약품을 사용하거나 부작용을 감수하고 췌장을 절제하는 수술에 의존하고 있다.

주로 신생아 시기에 발병하는 이 병은 심각하고 지속적인 저혈당을 일으킴으로써 병을 앓는 환자는 물론 가족들에게까지 큰 고통을 주고 있다.

AD 실시간 제약시장 트렌드,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제약산업을 읽는 데이터 플랫폼 BRP Insight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